•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기 소설 속 장애인의 현실 인식 (The Perception of Reality by People with Disabilities in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0.03
30P 미리보기
해방기 소설 속 장애인의 현실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77호 / 489 ~ 518페이지
    · 저자명 : 차희정

    초록

    본고는 해방기 소설에 등장하는 장애인을 통해서 해방 현실을 이해하고자 했다.
    <창>, <여과>, <슬픈 승리자(勝利者)>는 차별과 편견을 체현하는 장애 인물을 통해서 정책의 모순과 이중적 현실을 재현한다. 소설 속 장애인은 주체성을 형성하며해방기 좌우 이데올로기에 매몰된 이분법적 담론을 경계하고 소수자로서 여성 인물을 조력자로 형상화하면서 해방기 현실에 새로운 질서를 기획하였다. <혈담(血 痰)>, <유명(幽明)의 경지(境地)에서>의 주요 인물은 정책과 달리 열악했던 해방기 의료적 현실 속에서 타인에 대한 자발적 돌봄을 실천한다. 이는 사라 러딕이 주장한 모성적 사유로서 ‘어머니역할’을 실천함으로써 공존을 모색하는 행위이다. 또한 <스핑크스의 微笑>의 장애인 주인공은 삶의 허무를 인식하는 것과 함께 ‘살아내는’ 것으로 예측할 수 없는 삶의 속성을 이해하는 스핑크스 미소의 의미를 깨닫게되면서 해방 현실에 대한 사변적 태도를 견제한다. 소설 속 장애인은 해방기 피상적이고 이분법적인 담론의 대결과 갈등을 체현하는 동시에 장애인으로서의 ‘성실한’ 주체 구성과 모성적 사유를 통해 삶의 불확정성을 인식하는 등 비판적으로 해방 현실을 인식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reality of the liberation period through the eyes of the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that appear in some liberation novels. In novels Window, Filtration, Sad Victory, these characters experience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which convey the contradictory and two-sided nature of the policies implemented during this period.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se novels develop their identities, vigilant about the dichotomous discourse buried under the ideology of liberation. Portraying the female characters as key helpers, they structure a new system which constitutes the reality of the liberation period. The main characters of Blood Sputum and At Famous Spot voluntarily helps others in need. This stems from a ‘maternal instinct’ as proposed by Sarah Ruddick and is a practice of seeking ways to coexist. Furthermore, the protagonist of Sphinx’s smile come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phinx’s smile, by recognizing the futility of life and surviving in coexistence with others, as an understanding of the unpredictable nature of life. This leads to the protagonist becoming cautious of the speculative behaviors towards liberation. The characters with disabilities in these novels experience the conflict in the speculative and contradictory discourse of liberation. Through this, they embody the uncertainty of life and recognize the reality of lib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