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語文敎育의 人文學的 基盤과 指向 (The Humane Basis and the Pursuit of Education of Language Cul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2.06
21P 미리보기
語文敎育의 人文學的 基盤과 指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0권 / 2호 / 397 ~ 417페이지
    · 저자명 : 정병헌

    초록

    이 논문은 朴趾源의 「許生」에서 형상화된 허생의 인문학자적인 모습과 丁若鏞의 삶과 활동을 통하여 인문학 영역의 범위를 살피고, 이를 종합하는 정신을 世宗의 활동 속에서 찾고자 하였다. 책만 읽고 있는 허생은 책을 통하여 현상을 窮究하고, 이를 직접 시험해보고자 하였다. 정약용은 유배지에 도착하여 책만을 읽은 것이 아니라, 현실을 바로 볼 수 있는 소중한 기회를 맞이하였다. 그의 형인 丁若銓은 독서의 혜택을 누릴 수 없었지만, 바다에 사는 魚族의 生態를 책으로 삼았다. 세종은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지 못해 힘들어하는 백성들을 위해 거센 반발을 물리치며 문자의 創製를 감행하였다. 그런 세종이었지만, 세종의 백성 속에 女性이나 常民, 賤民은 포함되지 않았다. 인문정신의 확장된 사고를 통하여 우리는 이 시대의 어문교육이 해야 할 몇 가지 문제를 검토할 수 있다. 여기에 포함할 수 있는 문제로 漢字敎育은 과거의 문제를 계승한 것이고,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문학 교육은 이 시대에 擡頭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Education of language culture needs to be established upon cultural basis. It is indispensable to highlight the fact that language culture is originally based on humanities. This research seeks to observe the range of humanities through the scholastic characteristics of Huh-Saeng in “Huh-Saeng” of Park Ji-won, and the life and activities of Chung Yak- yong. Finally, this paper tries to capture the spirit and the era that contain the sphere of humanities by analyzing the activities of King Sejong.
    Huh-Saeng, who immerses himself in books, can be seen as a humanities scholar of the time. He investigates the logic of the universe through books, which include past experiences and culture. The purpose of his reading was to explore social phenomena through books and to experiment them in real life. On the one hand, he could be interpreted as the evil merchant that pursues personal profits by taking advantage of economic loopholes in Chosun society. However, his gains were made so that he could examine whether social changes could be made possible by money. Also, it is reminded in the story that such solution can never become perfect. Social transformation is not something that a certain group can achieve through making efforts.
    Chung Yak-Yong, who arrived in the place of exile, benefited from freedom to read as much as he pleased. He used this precious opportunity to not only read books, but also to evaluate the reality objectively. His elder brother, Chung Yak-jeon, did not benefit from abundant reading, but instead learned from fish life in the ocean. Humanities do not ask for the reality to approach them, but instead they reach the reality.
    King Sejong sympathized with the pain of the people who could not communicate their ideas properly. Thus he ventured to create Han-gul (Korean written language) against resistance from the noble class, so that he could communicate with the people. He was capable of having such creativity and motivation, perhaps because he did not wish to be content with existing benefits. However, his 'people' did not include women, the common people, and the lowest class. This is the reason that “Hong- gil-dong-jeon,” which intended to alleviate inequalities chose the era of King Sejong as its historical background.
    Through extension of humanities spirit, we can review some issues of today's education of language cultur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for foreigners can be included in such issues.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derives from past issues, and the education of Korean literature for foreigners is an issue of the future.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is necessary; it can not only enhance vocabulary capacity of the Korean language, but can also provide op- portunities to make use of Chinese characters to give names to pouring new products of civ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