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인과 중국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감사 부담감과 전략 사용 차이 비교 연구 -여성 화자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burden of expressing gratitude and differences in the use of thanking strategie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Intermediate-level Korean Learners: Results from a Fe)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2.09
46P 미리보기
한국인과 중국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감사 부담감과 전략 사용 차이 비교 연구 -여성 화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이중언어학 / 89호 / 223 ~ 268페이지
    · 저자명 : 전우주, 동준루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간의 감사 화행에 대한 인식과 감사 전략 사용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의 상황별 감사 화행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2) 한국인과 중국인 학습자의 상황별 감사 전략 사용에 차이가 있는가? 실험 참여자는 한국어 원어민 30명과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30명이고 두 그룹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DCT를 진행하였다. 연구 문제 1에서 두 집단의 감사 인사에 대한 부담감에 대해 독립표본 t검정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 2에서는 두 집단의 간접 전략 사용 여부에 대해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고, 각 상황에서 사용된 감사 전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인들은 친밀한 상대에게 감사 인사를 하는 것에는 부담감을 느끼지 않지만, 자신에게 이익을 준 상대방의 체면을 세우기 위해 관습적으로 직접 전략과 더불어 다양한 간접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중국인들은 거의 모든 감사 상황에 대해 부담스러워하고 있었지만, 친한 사이에 부담스럽게 이야기하면 관계가 어색해지는 문화적 관습에 따라 직접적인 전략을 더 선호하고 있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상대방이 자발적으로 나에게 큰 은혜를 베푼 상황을 부담스럽게 느끼고 있었지만, 선호하는 전략이 달랐다. 한국인들은 받은 것을 돌려주겠다는 보상 전략과 더불어 다양한 감사 전략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발화가 길어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인 학습자들은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기 위해 너무 많은 말을 할 경우 상대와의 관계가 멀어질 것을 염려하여 직접적인 감사 인사만으로 대화를 끝내고 있었다. 이는 직접적인 감사 전략만을 사용했을 때 갑자기 대화가 끝나는 상황을 피하고자 부가적인 표현을 사용한 한국인들의 발화와 대비된다. 정리해 보면, 각 상황에서 사용한 전략은 차이가 나타나지만 두 집단 모두 각각의 문화적 규범에 따라 상대방의 체면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해 적절하게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한국인들이 상대와의 관계가 서먹해지는 상황을 피하고자 간접 전략을 다양하게 사용하는 상황에서 학습자들은 직접적인 감사 표현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회문화적 특성으로 인해 유발된 이러한 차이는 화용적 실패와 더불어 원만한 인간관계 유지를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는 실제 감사 화행에서 관습적으로 선호되고 사용되는 다양한 표현과 전략들을 가르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ontrast the realization and strategy patterns of thanking speech acts between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Korean learners. (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s of Korean and Chinese learners thanking speech acts based on the situation? (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use of thanking strategies by situation by Korean and Chinese learners? DCT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from two groups consisting of 30 native Korean speakers and 30 Chinese Korean learners. For research question 1, we conducted an independent sample-test and a paired sample-test on the burden of thanking among the two groups. For research question 2, a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on whether the two groups used indirect strategies, and the thanking strategies used in each situation were analyzed. While Koreans do not feel pressured to thank their intimate counterparts, they were conventionally using various indirect and direct strategies to save face for the people who benefited them. The Chinese learners were burdened with almost all of the thanking situations, but preferred direct strategies according to cultural customs that made relationships awkward if they talked burdensomely with close friends. Furthermore, both groups felt burdened by situations in which the interlocutor voluntarily gave them grace, but their preferred strategies differed. Since Koreans used various thanking and compensation strategies to return what they received, their gratitude expressions tended to be longer. However, Chinese learners ended the conversation with only a direct thank-you because they feared that if they said too much to express their gratitude, their relationship with the other party would become distant. This contrasts with the utterance of Koreans who used additional expressions to avoid the sudden end of the conversation when only direct thanking strategie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trategies used in each situation differed, but both groups were appropriately using strategies to avoid damaging the interlocutor’s face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cultural norms. However, this study confirmed that while Koreans used various indirect strategies to avoid awkward relationships with their counterparts in certain situations, Chinese learners tended to prefer direct thank-you expressions in the same situations. These differences caused by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can make it difficult to maintain smooth human relationships along with pragmatic failures. Therefor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teach various expressions and strategies that are customarily preferred and used in actual thanking speech a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