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과 계봉우 (Korean Literature in Soviet Central Asia and Gye Bong-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1.11
42P 미리보기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과 계봉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25호 / 49 ~ 90페이지
    · 저자명 : 김필영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계봉우(필명 북우 혹은 뒤바보)가 민족어 교육에 참여했던 초기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사회 상황과 민족어 교육 현황을 소개한 후, 그가 남긴 문학 분야의 필사본 저술 가운데 <조선문학사>와 『레닌기치』 신문에 발표된 여섯 편의 시 작품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그 동안 계봉우의 <조선문학사>나 그의 창작 시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가 전혀 없었기 때문이다.
    <조선문학사>에 적용된 시대 구분과 갈래 분류에 나타난 계봉우의 견해를 안자산의 『조선문학사』에 대한 그의 부정적인 비평을 바탕으로 검토해보았다. 계봉우는 시대 구분을 ‘발아기’, ‘생육기’, ‘장성기’, ‘번영기’로 나누었는데 얼핏 보면 문학 내적인 기준을 적용한 것 같지만 실제 내용을살펴보면 왕조사를 바탕으로 한 문학 외적 기준을 따르고 있다. 이는 안자산이 택한 문학 외적 기준을 적용한 시대 구분과 같은 것이다. 갈래 개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지만, 유감스럽게도 계봉우는 <조선문학사>에서 자신의 의욕과는 달리 어떤 독창적인 견해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계봉우 스스로가 밝힌 것처럼, 김태준의 문학 분류 방법을 채택할 수밖에 없었고,갈래에 관한 내용 역시 당시 간행된 안자산 등의 저서들에 언급된 범위를넘지 못하고 있다. 계봉우가 자신이 집필한 <조선문학사>에 대해 “내용이물론 빈약하며 솜씨가 서툴러 論斷이 물론 詳明치 못할지니 安自山의 것과 무슨 다름이 있으랴”라고 한탄한 것은 안자산에 대한 자신의 부질없는비판에 대한 후회의 고백이나 다름없다. 계봉우의 <조선문학사>에 대해어떤 의미를 부여한다면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사회에서 시도된 첫민족 문학사라는 점이다.
    『레닌기치』에 발표된 시가 모두 여섯 편이라고 단정한 뒤, 필명이 ‘뒤바보’가 아닌 ‘바보’로 발표된 시들도 계봉우의 작품임을 규명했다. ‘바보’가계봉우의 필명으로 이미 다른 저술에 사용되었던 점과 문장의 특성과 연을 구분할 때 사용한 부호 등이 동일함을 들어 ‘바보’가 계봉우의 필명임을 입증하였다. 시 작품에 나타난 주제는 풍작에 대한 기쁨과 스딸린을 흠모한 작품으로 <꼴호즈의 밀가을>・<이날에>・<보배>가 있고, 레닌이 주도한 시월혁명을 찬양한 작품으로 <할아버지의 눈물>이 있고, 조선을 해방시킨 소비에트 군대와 스딸린을 예찬한 작품으로 <나의 늒김>과 <해방 삼주년>이 있다. 모든 작품에서 일관되게 소비에트 체재나 지도자를 찬양하고 있는데 이것은 소비에트 사회의 우월성을 강조하도록 한 소련의 문학창작 방향을 반영하였기 때문이다. 계봉우의 시 작품의 특징은 일정한 선동선전용 목적을 위해 창작된 시적 긴장이 결여된 행사시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introduce the situation of Korean literary world of Soviet Central Asia and the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ere Gye Bong-U (penname Bugu or Dwibabo) has deployed educational and creative activities, and to investigate in priority Gye Bong-U’s manuscrip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and six poems published in the Lenin kichi. So far, there has not been any comprehensive discussion neither o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nor on his creative poems.
    Based on the period division and genre classification referred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e examined Gye Bong-U’s literary point of view through his severe review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y An Jasan. Gye Bong-U divided the period in four: germination, growth, development, and prosperity. At a glance,it seems that he has applied the internal literary criteria, however if we examine in detail the contents, we know that he simply followed the external literary criteria based on dynastic history. This is the very period division of An Jasan, who referred the external literary criteria. In genre classification, to our regret, unlike his desire Gye Bong-U could not suggest any original opinion in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Gye Bong-U himself revealed, he had to adopt Kim Taejun’s literary classification and could not overcome the limits described in the existing books written by An Jasan etc. Gye Bong-U himself valued his manuscript ‘History of Korean literature’that “not only its contents were poor due to absence of reference materials but also its conclusion were not clear due to my poor skill, it was not different from that of An Jasan”. Such lamentation is nothing but a confession of regret about his idle thought on An Jasan. Nevertheless, if we grant a meaning to Gye Bong-U’s manuscript ‘History of Korean literary’, it is the first attempt in Korean society of Soviet Central Asia to write a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ffirming that there are six poems published by Gye Bong-U in the Lenin kichi,we have cleared up that pomes published not only by ‘Dwibabo’ but also by ‘Babo’are Gye Bong-U’s works. The penname ‘Babo’ was already used as his penname in journalistic articles and the poetic particularity and usage of certain mark in stanza division by ‘Babo’ are the same in the poems by ‘Dwibabo’. Regarding poetic themes, there are the joy of good harvest and admiration for Stalin in <autumn of wheat in Kolkhozes>, <This day> and <treasure>; the praise of the October revolution led by Lenin in <Tears of grandfather>; the admiration for the Soviet army, which liberated Korea and Stalin in <My feeling> and <Third anniversary of liberation>. Throughout all poems, the poetic narrator praises leaders of the Soviet Union and its system. It is because the direction and guideline of literary creation of the Soviet Union, which accentuates the superiority of the Soviet society,was consistently reflected in the poems. The characteristics of Gye Bong-U’s poems can be defined as an occasional poetry lacking poetic tension created for a specific purpose for agitation propagand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