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인 한글문학의 유산과 과제 (The Legacy and Tasks of Soviet Korean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4.12
48P 미리보기
고려인 한글문학의 유산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과 예술 / 52호 / 5 ~ 52페이지
    · 저자명 : 김병학

    초록

    고려인 한글문학은 1920년대에 연해주에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연해주 일대에 살던 고려인들이 1937년에 강제이주되면서 중앙아시아에 이식되어 한반도와 유리된 채 70여 년을 독자적으로 생존했다. 중앙아시아에서는 한글문학을 발전시킬 수 있는 물적 토대가 크게 손상된 데다 오랫동안 이념적 통제가 이루어져 한글문학은 양적‧질적으로 성장하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에 놓이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38년에 창간된 모국어 신문 《레닌기치》의 문예페이지를 중심으로 왕성한 창작활동이 이루어졌고 1962년에 소련작가동맹 산하 카자흐공화국 작가동맹 고려인분과가 재건되어 이를 중심으로 한글문학 단행본 편찬 작업이 진행되었으며 민족극장 《고려극장》에서 희곡이 연극으로 구현되어 대중과 만남으로써 1960년대 이후 고려인 한글문학은 한계 내에서나마 괄목할만한 발전을 이루었다. 한편 작가들 일부는 북한에 파견되어 한반도 이북 지역에 소련식 사회주의 한글문학을 정착시키는 데에 크게 공헌했다. 또 1950년대 말에는 북한 출신 2세대 작가들이, 1970년대 중후반에는 사할린 출신 3세대 작가들이 합류하여 창작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자칫 한세대의 전유물로만 존재하다 사라졌을지도 모를 고려인 문단을 안정시켰다.
    고려인 한글문학이 양자적 도약을 이룬 건 소련의 개혁개방 이후 소련 내 소수민족의 문화자치가 시작된 1989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때 고려인 강제이주 사건을 본격적으로 다룬 작품들이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그런데 자유로운 글쓰기가 온전히 가능해진 바로 그 무렵부터 대를 이을 후속 작가가 더이상 나타나지 않아 고려인 한글문학은 2008년 무렵에 종말을 맞이했다. 중단된 고려인 한글문학은 국내에 거주하는 고려인들 사이에서 부활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렇게 되면 한국 고려인 한글문학은 고려인 공동체 구성원들을 글로벌한 한민족공동체의 일원으로 견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논고는 고려인 한글문학의 전개과정과 고려인 한글문학이 남긴 유산과 과제를 살펴보고 있다.

    영어초록

    The Koryo Saram Korean(Soviet Korean) literature began in Primorskiy Kray during the 1920s. Following the forced deportation of Koryo Saram residents from Primorskiy Kray to unpopulated areas of Central Asia in 1937, their literary traditions were displaced yet endured for 70 years while remaining disconnec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ir ethnic homeland. Due to the deterioration of foundational resources for Korean literary development and prolonged ideological pressures from the Soviet regime, the Koryo Saram Korean literature faced considerable challenges, making it difficult to sustain and achieve growth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Despite these challenges, a thriving wave of Koryo Saram Korean literary activities emerged, primarily concentrated in Literary Page of the Korean-language newspaper Lenin Kichi, first published in 1938. By 1962, the reestablishment of the Koryo Saram literary department in the Union of Writers in Kazakh SSR, which is a branch of the Union of Soviet Writers, produced a standalone volume of the Korean literary works. Furthermore, the Republican Korean theater, Koryo Theater, staged Korean dramas, adapting them into performances that actively engaged with the public. Through these efforts from the 1960s, the Koryo Saram Korean literature experienced notable development, albeit within certain constraints of Soviet rule. Meanwhile, some of Koryo Saram writers were sent to North Korea, where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Soviet Korean socialist literatur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dditionally, second-generation writers from North Korea joined in the late 1950s, followed by third-generation writers from Sakhalin in the mid- to late 1970s, enhancing creative endeavors and thereby stabilizing the Koryo Saram Korean literary circles, which otherwise might have disappeared as the exclusive domain of a single generation.
    The substantial advancement of the Koryo Saram Korean literature began in 1989, following the concept of national-cultural autonomy for ethnic minorities within the Soviet Union, which emerged after the policies of Perestroika (restructuring) and Glasnost (openness). At this time, the literary scenes addressing the Korean deportation were in earnest produced for the first time. However, just as this freedom of expression became widely available, no new generation of writers was around to carry its legacy forward, it led to the end of the Koryo Saram Korean literature around 2008. The discontinued tradition of the Koryo Saram Korean literature has the potential to revive among those residing in South Korea, if realized, it could draw Koryo Saram more fully into the global members of the larger Korean diaspora.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of Koryo Saram Korean literature and explores its legacy and future challe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