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於于堂 柳夢寅의 서예미학 (Calligraphic aesthetics of Eoudang Yu Mong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5.06
16P 미리보기
於于堂 柳夢寅의 서예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6권 / 6호 / 133 ~ 148페이지
    · 저자명 : 장지훈

    초록

    본고는 조선중기 於于堂 柳夢寅(1559-1623)의 서예미학을 조명한 글이다. 문장가로서 유몽인이 지향한 ‘주체성’ 또는 ‘개성’이란 측면에 주목하여, 문예인식과 그에 바탕한 서예심미를 탐색하였다.
    유몽인은 문예방면에서 상대적 세계관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흔히 볼 수 없거나 일상적인 것을 벗어난 이상한 일, 초현실적인 일, 괴이한 것, 환상적인 것으로 관심을 옮긴다. 이러한 세계관은 그의 문예미학에서 奇의 추구와 표리를 이룬다. 그리하여 文은 ‘진부하고 무성한 것’으로부터 ‘새롭고 간결한 것’으로 나아갈 것을 주장하기에 이른다. 또한 文이란 前作을 연습하지 않는 것을 귀하게 여기고, 胸中의 造化에 의한 자득이 곧 진정한 문장이라 여긴다.
    이러한 문예인식은 그의 서예관과도 직결된다. 黃耆老의 글씨를 ‘神怪不測, 多自成造化’라고 하여 ‘신괴함’을 통해 자득을 이루었다며 奇를 숭상하는 인식을 서예에도 반영하였다. 즉, 奇怪의 심미관을 통해 유가적 보편미의식을 넘어, 자득의 경계를 형성했다는 데 주목한다. 이는 張弼이 후학들을 그르친다고 정통유학자인 李滉이 지탄한 것에 반하여 오히려 장필의 奇怪함에 대해 긍정하는 대목에서도 두드러진다.
    한편 황기로가 옛 것이 아닌 것을 자기 마음대로 창작하여 세상을 속인다고 成守琛이 평한 데 반해, 유몽인은 오히려 우리나라 초서 가운데 황기로의 ‘자기 마음대로 글씨’를 최고라 평한다. 특히 그는 중국과 우리나라 제가의 서예를 두루 취하면서도 유독 조선에 유행했던 송설체풍의 글씨에 대해서는 기피하였다. 즉, 당시 擬古的 성향의 문예뿐만 아니라 서예방면에서도 기존의 주류 서풍에 대한 답습과 모방을 부정하고, 자득의 서예심미를 견지했던 것이다.
    요컨대, 특별한 인맥과 학맥도 없이 擬古와 法古를 넘어 진정한 創新을 궁구한 유몽인의 열린 사고는 진정과 자득을 지향하는 조선후기의 문예사조와 문예부흥의 초석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부여할 수 있겠다. 아울러 성리학이 심화된 조선중기, 도덕적 보편미의식의 잣대를 과감히 극복함으로써 조선의 서예역사상 서예를 주체적인 순수예술로 견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calligraphic aesthetics of Eoudang Yu Mongin (1559-1623) who lived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Focusing on ‘identity’ or ‘individuality’ that Yu Mongin aspired to as a calligraphy stylist, it has studied his perception in literature and aesthetic.
    In literature, Yu Mongin shifted his interest into the things beyond the daily life or the ordinary, or the things that are supernatural, grotesque or fantastical through the relative view of the world. This view corresponds to the pursuit of eccentricity in his literature aesthetic. Hence he proposed that the writing should progress from ‘the trite and conventional’ to ‘the new and concise’. Moreover, according to his idea, it is the true writing that the writing is secured for his or herself not from repetitive practice of preceding works but from the harmony in his or her heart.
    This perception in literature is directly connected to his belief in calligraphy. Appreciating the calligraphy of Hwang Giro is the result of self-acquisition from eccentricity as commenting “His calligraphy is arcane and eccentric so hard to anticipate. It is the harmony in individuality and beauty”, he embraced the perception of respect for eccentricity. In other words, he focused on achievement of self-acquisition by going beyond the conventional aesthetic of Confucianism through the aesthetic view of eccentricity. It is also found at the point where he positively appreciated the eccentricity of Zhang Bi whom Lee Hwang, a legitimate Confucian scholar, criticized for having negative influence on students.
    In addition, while Seong Suchim criticized Hwang Giro deceived the world by creating his own style instead of following the old, Yu Mongin appreciated that this own style of Hwang Giro made itself the best of cursive writing styles in Joseon. Especially, he avoided a prevalent Songseol style while acquaint with almost all the calligraphies of China and Joseon. That’s because he refused to follow and imitate the existing majority of calligraphy style not only in archaic literature but in calligraphy and insisted the calligraphic aesthetic of self-acquisition.
    Without any special personal connections or school relations, Yu Mongin has an open mind to pursue the authentic creation of originality beyond the complacency by following and imitating the old. This is the significance he has that his achievement became the cornerstone of literature trend and the Renaissance in the late Joseon. Furthermore, there is another significance of adhering calligraphy as an independent art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Joseon calligraphy by resolutely overcoming the standard of conventional aesthetic of morality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when Neo-Confucianism had been intensifi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