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반공포로의 석방과 국민형성의 딜레마 ―김광주의 『석방인(釋放人)』을 중심으로 (The Release of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andthe Dilemma about Embracing them into the Society ―Focusing on Seokbangin written by Kim, Gwang-Ju)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1.11
34P 미리보기
반공포로의 석방과 국민형성의 딜레마 ―김광주의 『석방인(釋放人)』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문화 / 41호 / 33 ~ 66페이지
    · 저자명 : 최미진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김광주의 『석방인』을 대상으로 휴전 전후 반공포로 석방의 의미항을 고찰하는 데 있다. 휴전 직전 이루어진 반공포로 석방사건을 재현한 이 소설은 전후사회의 상황을 후경으로 삼아 반공포로들이 남한사회의 ‘국민’으로 자리매김하는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우선, 이 소설은 부산 가야리 제9수용소를 배경으로 반공포로의 석방과정을 사실적이면서도 극적으로 재현한다. 가장 기동적인 신문매체를 통해 보도되었던 당시의 사실을 재현하고 문맥화하는 한편 극적 재구성을 통해 실감을 확보하고 있었다. 특히 반공포로의 자발성과 국가의 주도적 역할에 대한 강조는 휴전 직전 이승만 정권의 독자적 행보를 정당화하는 국가이데올로기의 순응 장치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그리고, 석방된 반공포로 박철은 고백 행위를 통해 남한 사회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사회적 위상을 새롭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었다. 다르게 말하면 남한 사회가 요구하는 사상증명으로서 박철의 고백은 일종의 과거 청산인 동시에 현재의 비참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자기 구원에의 의지를 지닌 것이었다. 그럼에도 고백 행위가 이루어지는 교차적 회상구조는 반공포로를 ‘보호’의 대상이자 ‘갱생’의 대상으로 간주했던 당대 상황을 반영한다. 즉 남한사회가 반공포로에 대해 동포애주의와 사상증명사이에서 부유하던 국민형성의 딜레마를 재현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소설은 반공포로의 ‘석방’을 과거청산에서 과거극복으로 재의미화하여 국민형성의 딜레마를 지양하고자 하였다. 문화인에 대한 작가의 남다른 애정과 전후사회 재편의 새로운 방향을 보여주는 시각이었다. 특히 석방관 건립은 한국전쟁의 상처를 기억하고 그러한 체험을 가진 이들을 애도한 공적 문화사업의 일종으로, 박철을 비롯한 연극인, 나아가 남한사회의 모든 국민들이 반공이데올로기에 편향되어 경직된 과거청산에 함몰되기보다는 건설적인 미래를 위한 전후복구의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것은 주체적 여성 최미자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체적 여성의 독자적인 부상이라기보다 전후사회를 이끌 새로운 주체의 요건을 제시하는 것에 가까웠다. 이러한 결과를 두고 볼 때, 『석방인』은 ‘제시하는 것’에 침묵하는 세태소설이 아닌 세태를 읽어내는 작가의 시선이 건강하게 살아있는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release of anticommunist POW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rmistice, by looking into Seokbangin (The Released) written by Kim, Gwang-Ju. This novel, which describes the incident of setting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free just before the Korean war armistice, focuses on the issue of helping the released POWs to put down root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during the post-war period.
    First, set against the 9th prison camp in Gaya-ri, Busan, this novel reproduces the process of discharging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in a very realistic and dramatic way. Some communicable facts are reenacted through the medium of newspapers and put into context, while dramatic reconstruction increases its realism. In particular, the emphasis on the voluntary acts of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and on the dominating role of the nation serve as a device conforming to the national ideology of the time justifying the unilateral conducts by the Lee, Seung-Man Administration right before the armistice.
    As Park Cheol, the discharged anticommunist prisoner of war, makes a confession, he tries to renew his identity in South Korea and find an opportunity to rebuild his social status. In other words, he attests to the ideology demanded by the South Korean society. His confession represents both his efforts for the liquidation of the past and his willingness to rescue himself from the miserable situation.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crossing recollections used for his confession suggests the dilemma of the time about embracing the released anticommunist POWs as South Korean people, indicating not only the state of mind of the released POWs who had to choose either brotherly love or ideology attestation but also the conflicts facing the South Korean society at the time.
    Lastly, this novel re-signifies the "release" of the anticommunist prisoners as an act of overcoming the past, rather than the liquidation of the past, rejecting the dilemma about embracing them into the nation. This clearly shows the extraordinary affection toward the cultured people and a new direction for the post-war society. As part of public cultural projects aimed at remembering the wounds of the Korean War and paying tribute to all those who underwent the terrible war, the establishment of the "Seokbanggwan (Release Memorial)" shows that Park Cheol and other theatrical people and all South Korean people, in a broader context, did not confine themselves to the liquidation of the past based on the anticommunist ideology, but presented a new blueprint for post-war reconstruction work to usher in a brighter future. Even though these works have been mostly done by Choi, Mi-Ja, an independent lady, it was more like suggesting the qualifications for a new player who can lead the post-war society, than the emergence of independent women. This female character was nothing but the embodiment of the men's perspective. Given all these study outcomes, Seokbangin is not a novel of manners, which remains quiet about the current situation, but it can be rightly called a novel where the writer's point of view on the society is clearly appar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