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라쇼몬>, 절망인가 희망인가? (The Movie is Despair or Hop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9.06
28P 미리보기
영화 &lt;라쇼몬&gt;, 절망인가 희망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 예술 / 6호 / 99 ~ 126페이지
    · 저자명 : 신상후

    초록

    본 논문은 영화 <라쇼몬>의 두 주제, ‘객관적 인식의 불가능성’이 주는 절망과 ‘신뢰할 수 있는 인간’이 주는 희망을 철학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객관적 인식의 불가능성은 회의주의(skepticism)의 중심 주제로, 고대 서양의 피론주의(Pyrrhonism)에서 이미 선언되었던 것이다. 객관적 인식이 불가능한 이유는 인간의 인식이 특정한 형식에 의존적이기 때문인데, 포스트모더니즘의 회의주의는 인식의 형식ㆍ패러다임ㆍ에피스테메가 다양하며, 각각의 패러다임은 통약 불가능하므로 동일한 정당성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회의주의는 상대주의로 귀결된다. 상대주의가 주는 혼돈과 방기를 극복하고 진리와 가치를 말하기 위해 정대현은 새로운 진리 개념으로서 ‘맞음’의 개념을 정립한다. 그런데 이 정립은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선이론적 세계를 상정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므로 이 상정은 형이상학적 실재론이 귀결하는 ‘객관적 인식의 불가능성’ 문제에 다시 직면하게 된다. 따라서 그의 철학적 처방은 아직 해결되지 못한 물음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포스트모더니즘의 회의주의가 우리를 불가지론의 절망에 봉착하게 함에도 불구하고, 영화 <라쇼몬>은 그 종결에서 휴머니즘적 희망을 말한다. 회의론적 절망과 휴머니즘적 희망은 어떻게 일관될 수 있는가? 사실 <라쇼몬>이 말하는 절망은 이론적 인식이 제기하는 회의론적 절망은 아니었다. 이 절망은 인간의 이기심에 연유한 것이었다. 결국 이기심이 어떻게 이타심으로 비약할 수 있는지 해명되어야 <라쇼몬>의 결말은 이해될 수 있는 것인데, 본고는 주자학(朱子學)과 조선의 낙학(洛學)이 이를 해명할 수 있다고 보았다. 주자학은 인간을 ‘만물을 낳고 살리는 천지의 마음[天地生物之心]을 간직한 존재’로 간주하는데 인간이 이기심을 극복하고 이타적 실천을 할 수 있는 것은 이 마음에 근거한 것이다. 특히 조선의 낙학(洛學)은 이 본연의 마음에 주목하여 ‘이기심 극복’의 가능 구조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 본고는 이 두 이론에 입각하여 <라쇼몬>이 말하는 희망의 가능구조를 철학적으로 해명하였다.

    영어초록

    The article aims to analyze the theme of the movie, <Rashomon>. Two main themes, despair, led by ‘the impossibility of objective cognition’ and hope, brought by a ‘reliable human,’ are addressed in the movie.
    The impossibility of objective cognition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kepticism in Western philosophy in this article. The reason why it is impossible to make an objective perception is that human cognition relies on the particular form. Skepticism in Postmodernism claims that cognition depends on system·paradigm·episteme, and respectively each paradigm is valid. Such Skepticism ultimately concludes to Relativism. Philosopher Dai-Hyun Chung established a new theory to overcome despondency led by Relativism, and to address truth and value. Postulating a new sphere beyond human cognition enables establishing the new theory. However, the postulation again faces the problem, ‘the impossibility of objective cognition.’ Despite the fact that Skepticism in Postmodernism falls us into hopeless, the ending of <Rashomon> gives hope in humanity. Postmodernism in the West is unable to present a structure giving hope, however, Neo-Confucianism can provide a solution. Zhu Xi’s philosophy argues that human has the “mind of Heaven and Earth to produce things 天地生物之心也,” which serves as a foundation of altruistic behaviors and conquering selfishness. Nakhak 洛學 in Joseon particularly focused on Mibal 未發 (the state of heart-mind before expressing) to consolidate ‘the structure to conquer selfishness.’ This article proposes philosophical grounds that is suggested in <Rashomon> from the theory of heart-mind in Zhu Xi’s philosophy and that of Heart-Mind on Mibal of Nakha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