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What is the human nature in Buddh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08.02
25P 미리보기
What is the human nature in Buddhism?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학보 / 48호 / 29 ~ 53페이지
    · 저자명 : 김종욱

    초록

    In Buddhism, humans exist not between the relationship of two subjects of the creator and the created, or the heaven and the earth, but they exist between the world of ignorance and the world of awakening solely based on their mindset. It is noteworthy that this existence is not in the form of mere "floating", but in progression of distinctive direction: "realization of awakening from ignorance"(轉迷開悟). The fact that the humans live in a two-tiered complex world of ignorance and awakening and the move from one state to another merely requires the change in the mindset reflects that the study of humans in Buddhism begin with the exploration of mind in the setting of non-essential reality and essential possibility or that of contamination and purity. This scrutiny of humans in the setting of contamination and purity stands in contrast to the view of humans in the setting of rationality and animality, good and evil, and stillness (靜) and motion (動) in the West, Confucianism, and Taoism, respectively. The Buddhist view of humans can be summarized as "mind by nature is pure, and it is not a subject that can be soiled"(心性本淨 客塵所染).
    Prajñāparamita-sutra and Madhyamika argue that the basis for the belief "mind by nature is pure, and it is not a subject that can be soiled" lies on the emptiness, but they do not go in-depth to explain what happens inside the mind itself. Yogacara attempts to gai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etting of purity and contamination expressed in the above belief through the notion of ālaya-vijñāna (阿賴耶識,). Yogacara attempts to compile the two-tiered complexity of ignorance and awakening and contamination and purity embedded in everyday human life and the possibility of realization of awakening from ignorance, which is also expressed as "the acquisition of truth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轉識得智) in Yogacara, by the way of ālaya-vijñāna and the three-nature theory. Nevertheless, it puts more emphasis on the notion "the mind is not a subject that can be soiled" that explains the mindset of an ordinary person rather than on the part "the mind by nature is pure." tathāgata-garbha thought belief seeks the integration of the two parts by developing on the notion "the mind by nature is pure." Tathāgata-garbha implies the two-tiered complexity of ignorance and awakening as reflected on the statement "mind by nature is pure, and it is not a subject that can be soiled," and Buddha nature shows that its theoretical foundation lies on the emptiness; both concepts of tathāgata-garbha and Buddha nature point to the possibility of deliverance for sattva. Buddha nature is more than a simple translated term, but it embed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Buddhist philosophy and the traditional Chinese philosophy. Hypostatization of Buddha nature has reaffirmed that Buddha nature can be found in one's mind as human nature to the follower of Buddhism in China. Furthermore, noumenaliation of Buddha nature stirred the realization of the fact that mentalized Buddha nature is no different from the emptiness in true nature as the essential principle of all virtues. It clearly follows that the human nature is Buddha nature, and more specifically "Buddha nature as the emptiness" in Buddhism. Buddha nature as the emptiness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umanism to result in the theory of human nature that brings together the nature and humans in harmony. Buddha nature and Dharma nature are both the emptiness, and it follows that nature of humans and the other parts of the world meet in the commonality of the empti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