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哪吒 서사 이미지의 원형과 변형 과정 고찰(1) — 毗沙門天王과 李靖의 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igins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Nezha Narrative Image: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毗沙門天王 and 李靖)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3.02
23P 미리보기
哪吒 서사 이미지의 원형과 변형 과정 고찰(1) — 毗沙門天王과 李靖의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보 / 103권 / 121 ~ 143페이지
    · 저자명 : 안정훈

    초록

    이 논문은 중국의 고전 소설 작품 속 캐릭터이자 최근 대중 서사문화의 유명 아이콘이 된 ‘나타(哪吒)’라는 캐릭터 이미지의 원형과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데 哪吒는 중국 판타지 서사의 주요한 캐릭터가 되었지만, 사실 원래부터 중국 고유의 인물은 아니었다. 哪吒는 원래 인도 석가모니의 충직한 신도였다가, 나중에 불교를 수호하는 護法神으로 신격화된 캐릭터이다. 그러다가 불교가 중국에 전해지면서 哪吒 역시 중국으로 전해져 中國化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다. 이러한 중국화의 과정을 통하여 불교의 호법신에서 도교 계열의 신으로, 혹은 佛經에 등장하는 ‘머리 셋에 여섯 개의 팔[三頭六臂]’을 가진 무시무시한 괴물의 모습에서 대중 서사 작품 속의 장난꾸러기 아이의 이미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화의 과정을 만들어낸 것이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결국 哪吒가 어떠한 원형으로부터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쳐 가장 최근의 히트작인 <哪吒之魔童降世(2019)>에서의 서사 이미지로까지 변화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어떠한 사회적 요구가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는 작업이다.
    중국의 고대 문화는 외래적 요소들을 중국화 시켜버리는 ‘문화의 용광로’답게, 毗沙門과 哪吒라는 인도 혹은 페르시아 국적의 異種 神格을 중국화된 불교와 도교를 수단으로 하여 중국의 神格으로 재탄생시켰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이민자’ 毗沙門은 ‘중국의 毗沙門’인 李靖으로 통합 혹은 대체되었다. 처음에 ‘이민자’ 毗沙門의 부수적 존재로 등장했던 哪吒太子는 毗沙門의 아들이라는 신분을 가졌을 뿐, 毗沙門과 차별화된 입체적인 형상과 역할을 가지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이민자’ 毗沙門이 사라지고 ‘중국의 毗沙門’인 李靖이 민간 신앙의 주요 대상으로 자리 잡으면서 哪吒는 李靖의 부수적 존재가 아닌 개성적인 형상과 독특한 모티브를 가진 입체적인 캐릭터로 변모하게 되었다. 『封神演義』에서 좌충우돌 활약하는 哪吒의 모습은 ‘托塔李天王’ 신앙과는 별개로 중국 민간 사회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기능과 서사를 가지게 된 哪吒 신앙의 문학적 재현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totype and process of change of the character image called “Nezha(哪吒)”, which is a character in Chinese classical novels and has recently become a famous icon of popular narrative culture. By the way, Nezha has become a major character in Chinese fantasy narratives, but in fact, he was not originally unique to China. Originally a faithful believer in Sakyamuni, India, he was later deified as a guardian deity who defended Buddhism. Then,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Nezha was also introduced to China, which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hineseization. Through this process of Chineseization, various changes have been made from the Buddhist guardian deity to the Taoist deity, or from the appearance of a scary monster with “six arms on three heads” in the Buddhist scriptures to the image of a naughty child in popular narratives. Therefore, this paper is to examine what kind of originality Nezha eventually changed to the narrative image in the most recent hit <Nezha(2019)> and what social needs are reflected in the background of the change.
    Ancient Chinese culture, like a “culture melting pot” that turns foreign elements into Chinese, has been reborn as Chinese gods using Chinese Buddhism and Taoism as a means of Indian or Persian nationality. And in this process, the 'immigrant' 毗沙門 was integrated or replaced by 李靖, the 'Chinese 毗沙門'. Nezha, who first appeared as a subsidiary of the 'immigrant' 毗沙門, only had the status of being the son of 毗沙門, but did not have a various shape and role differentiated from 毗沙門. Then, as the “immigrant” 毗沙門 disappeared and 李靖, the “Chinese 毗沙門,” became the main object of the folk belief, Nezha was transformed into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with a unique shape and unique motif, not an incidental existence of 李靖. Apart from the “托塔李天王” faith, the appearance of Nezha, who is active in 『封神演義』, can be said to be a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Nezha faith, that has its own unique function and narrative in Chinese civil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