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5세기 이두편지 사례 연구 - 李蕃의 家內書簡을 중심으로 - (Letters Written in Idu in the 15th Century - Private Domestic Letters by Lee Beon(李蕃)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6.02
31P 미리보기
15세기 이두편지 사례 연구 - 李蕃의 家內書簡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48권 / 405 ~ 435페이지
    · 저자명 : 안승준

    초록

    2007년 경주 양동마을 여주이씨 회재 李彦迪의 종가에서 이두문 서간이 조사, 발굴되었다. 바로 李蕃(1463∼1500)이 그의 아버지 李壽會(1431~1518)에게 쓴 편지였다. 현존하는 이두 편지로는 1468년(세조 14)에 작성된 金宗直(1431~1492)의 어머니 밀양박씨와 아내 하산조씨의 것이 가장 오래된 것이다. 15세기 이두 편지는 한글 창제 전후한 시기의 언어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李蕃의 서간은 경주 양동마을 여주이씨 종가에 永慕帖이라는 책자에 편집되어 있으며 모두 15건에 달한다. 영모첩은 회재 이언적이 先系 및 직계 후손들의 친필 遺墨을 모아 편집한 것이다. 이언적의 유묵 대부분은 옥산마을 獨樂堂에 거주했던 李全仁의 후손들이 보관하였다. 영모첩의 주기사항을 분석해보면 그 제작 의도가 無忝堂, 즉 이언적 종가의 위상을 확립하는 차원에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번의 편지 내용이 班家의 일상사로서 매우 소략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소중하게 보존되어 온 것은 이같은 배경이 있었기 때문이다. 본 논고에서는 15세기 말 이번의 편지를 탈초·번역하고 그 내용과 가치를 분석·검토한 것이다. 이두 편지의 분석에서 밝힌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편지의 대부분은 문장 자체가 주어 + 술어조로 된 단문구조로 되어 있다. ‘而’字 등 접속사가 거의 없고 고사성어 등 난해성이 가미된 문장을 쓰지 않았다. 이에 대부분 10자 이내에 주·술어, 동사·목적어가 위치해 문장파악이 정격 한문에 비해 쉽다. 동사가 미치는 범위가 지극히 짧고 載送, 計送 등 우리식 복합동사를 사용하여 정격 한문의 난해성을 극복하였다. 이는 이두문이 최대한 당시 사람들의 언어구조를 반영했기 때문이다. 한자는 동일한 글자를 가지고 명사와 동사 목적어로 쓸 수 있다. 한문에서 문리는 수시로 변하는 한자의 용도를 적절히 구사하거나 이해하는 데 있다. 이두편지에는 그럴 필요가 거의 없다.
    둘째, 이두문의 단점은 처음부터 끝까지 하나의 문장으로 된 長文이라는 점이다. 전형적 고문서는 접속사 성격의 이두 爲乎矣(하오되), 是乎㫆(이오며) 등과 같은 접속사를 사용함으로써 중간에 끊어 읽기가 어렵다. 본 이두편지에는 적절한 종결사를 사용해 이같은 단점을 극복하고 있다. ~敎事, 右味, 聞是白次와 같은 문투의 사용이 이를 가능하게 하였다. 요컨대 이번의 이두 서간은 한자를 빌어썼지만 우리말 어순에다가 단문형식을 갖추어 구사하기 쉽고 수취자의 이해도가 높다. 또한 명사와 동사 목적어 사용이 당시 사람들의 언어 체질에 맞도록 구사되어 정격 한문의 난해성을 극복하고 있다.
    셋째, 빈번하게 주고 받은 膳物은 부자 사이가 아니더라도 양반가의 통상적 물물교환이자 관행이었다. 이번이 살고 있던 양동은 큰 내가 흐르는 川邊인데다가 바다와 가까워 大口 小魚 乾銀魚 靑魚醯 乾巨魚 黃魚 白條 등 민물 및 바다고기를 구득하기가 용이하였다. 15세기 단백질 원으로서 물고기가 차지하는 비중을 가늠해 볼 수 있다.
    한국식 한문이 구사되었다는 점에서 15세기 이두편지의 발굴은 그 의미가 크다. 문자는 달랐지만 문장의 주어 술어 구조와 동사 명사 사용이 한글의 그것과 방불하기 때문이다. 이두편지가 언제부터 사용되었는 지는 밝혀진 바가 없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를 거쳐 1960년대 편지 투식집에까지 ‘上白是(샹이)’라는 이두편지의 흔적이 남아있는 것을 보면 그 생명력은 매우 길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Idu letters were discovered in the head house of Yeoju Lee clan of Hoejae Lee Eonjeok(李彦迪) in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in 2007. Lee Beon(李蕃,1463∼1500), father of Lee Eonjeok, wrote them to his father, Lee Suhoe(李壽會,1431~1518). The Idu letters in the 15th century showed language usages of the period around the invention of Hangeul. Thus they are highly significant material. The letters were 15 in total and compiled in a book, Yeongmocheop(永慕帖), in the head house of Yeoju Lee clan in Yangdong village in Gyeongju. The author translated and analysed the Idu letters and found the followings. First, the sentence structure was simple with a subject and a verb without connectives such as /i/ ‘而’. Idioms from ancient events weren't used. Thus they were easy to comprehend. Subjects and verbs, and verbs and objectives were placed near within 10 characters. Compound verbs such as Jaesong(載送) and Gyesong(計送) with Koreanized usage also made comprehension easier. The same Chinese characters could be used as a subject, a verb, and an object. That makes comprehension difficult but the Idu letters didn't have the problem. Second, some Idu sentences in other materials werelong and difficult to comprehend with connectives such as Haodoe(爲乎矣) and Iomyeo(是乎㫆). However, the Idu letters in question overcame the difficulty with proper endings such as Gyosa(敎事), Umi(右味) and Munsibaekcha(聞是白次). Although the Idu lettered used Chinese characters, they kept Korean word order with simple sentence structure, making composition and comprehension easy. The use of nouns, verbs, and objects followed the language system of people of the period thus made the letters understood more easily. Third, the letters revealed the custom that frequent gift giving was means of a barter exchange between father and son and among noble families. Yangdong is located on a river near sea thus with abundant supply of fish such as a cod, small fish, dried sweetfish, a herring, dried Spanish mackerel, a sturgeon and a croaker. The importance of fish as a protein source at the time was understood clea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0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