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광지(李光地) 역학(易學)에 대한 고찰 - 정약용의 비판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Lee Kwang-ji(李光地) yixue(易學))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0.03
24P 미리보기
이광지(李光地) 역학(易學)에 대한 고찰 - 정약용의 비판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95호 / 49 ~ 72페이지
    · 저자명 : 심의용

    초록

    이광지는 청대 역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정약용을 비롯하여 이광지 역학에 대한 비판은 정주 리학을 왜곡했다는 것과 주희의 괘변도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역학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는 점이다. 본 논문은 이광지 역학을 청대 학술의 배경과 강희제와의 정치적 관계 속에서 이해하려고 한다. 이런 사회 정치적 맥락 속에서 두 가지 비판이 가진 의미가 무엇이고 왜 그러할 수밖에 없었는가를 논의한 뒤에 이광지 역학의 특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주역절중』은 강희제의 정치적 의도와 맥락 속에서 편집되었기 때문에 세밀한 독해가 요구된다. 이광지는 주희가 상(象)과 점(占)으로 구분하여 『주역』이 점서로 평가한 점에 찬동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적인 주석의 내용에서 보면 주희와 정이천의 의리(義理)를 모두 따르지 않고 있다. 여기에는 어떤 정치적 의도가 개입되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그러한 해석이 『주역』 해석으로서 전적으로 잘못되었다고 폄하할 수도 없다. 이광지는 나름대로 전체 주역의 의미를 일관된 논리로 해석하고 편집하려고 했다는 점은 인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자신의 해석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주역절중』보다는 『주역통론』에 잘 드러내고 있다.

    영어초록

    Lee Kwang-ji(李光地) is a representative figure in Qing Dynasty. One of the main criticisms of Lee Kwang-ji, including Jeong Yak-yong, is that he is not aware of the yixue(易學) because he has distorted the philosophy of ChungJulixue(程朱理學) and he has not selected Zhu-xi's Guabian(卦變). This paper tries to understand Lee Kwang-ji's yixue(易學) in the background of Qing Dynasty's academic work and in the political relationship with Kang Hee-je(康熙帝). After discussing the meaning of the two criticisms and why they had to do so in this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we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Lee Kwang-ji's yixue(易學). A detailed reading is required because Jooyeokjeoljoong(周易折中)was edited in the context of Kang Hee-je's political intentions. Lee Gwang-ji agrees with Zhu-xi's assessment of the main characters by dividing them into 象 and 占. However, in terms of the actual contents of the commentary, he does not follow the commentary. This involved some political agenda. However, that is why such an interpretation cannot be denigrated as entirely wrong. It is acceptable that Lee Gwang-ji tried to interpret and edit the meaning of the entire leading role in a consistent way. And he had his own way of interpreting. This is more apparent in the Jooyeoktonglon(周易通論) than in the Jooyeokjeoljoong(周易折中).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