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유의 「중용장구중유의자삼(中庸章句中有疑者三)」에 대한 정제두의 견해 (Jeong Je-du's opinion on Jang Yu's ''Jungyongjanggujungyuuijasam (中庸章句中有疑者三)'')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4.02
22P 미리보기
장유의 「중용장구중유의자삼(中庸章句中有疑者三)」에 대한 정제두의 견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유학연구 / 66권 / 39 ~ 60페이지
    · 저자명 : 황인옥

    초록

    장유(張維)는 주자의 중용장구를 읽고 의문점 3가지를 제기하였는데, 본 연구는 정제두(鄭齊斗)가 그의 「중용설(中庸說)」에서 장유의 의문점을 어떻게 반영하여 해석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장유는 「중용장구중유의자삼(中庸章句中 有疑者三)」이라는 글을 통해 주자의 중용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정제두또한 이 부분에 대한 해석에서 장유와 비슷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그것을 간단히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유는 수장의 ‘修道之謂敎’에서 ‘수(修)’를 성인(聖人)의 품절(品節)이라고 한 것과 ‘교(敎)’의 방법으로 성인이 품절해 놓은 예악형정(禮樂刑政)을 제시한것에 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이에 대해 정제두는 수도의 주체를 인간으로 규정하고, 마음의 자각을 통해 성인의 경지에 도달하는 목표를 제시하였다. 성인이 품절해 놓은 것을 그대로 따라가는 피동적인 인간이 아니라, 하늘이 품부된 인심을바탕으로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실천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다. 따라서 그가 볼때중용은 수도지서(修道之書)가 되며, 중용 안에서 제시되는 모든 것은 수도의 방법이 된다.
    둘째, 장유는 주자가 비은(費隱)을 12〜20장에만 적용한 것에 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정제두는 이에 대해 비은이라는 말이 12장에만 보이더라도, 뜻으로 보면전편의 내용이 모두 비은이라고 하였다. 정제두는 ‘비’를 수도(修道)로, ‘은’을 솔성(率性)으로 해석하고, 중용 전편의 요지를 솔성과 수도로 보았다. 따라서 그가생각한 비은의 적용 범위는 중용 전체가 되는 것이다.
    셋째, 장유는 중용장구 5장이 하나의 구(句)로 이루어진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였다. 정제두는 33장 체계를 7장으로 개편하였고, 크게는 상⋅하편으로 나누었다. 그는 7개 장의 중심 요지를 모두 솔성과 수도로 규정하였고, 상⋅하편 체계에서 상편[ 1〜3장]은 도체(道體)를 설명하여 용(庸)의 도(道)라고 하였으며, 하편[4〜7장]은 중용의 공부를 말하여 용의 학(學)이라고 하였다. 그는 중용이 도체와 공부의 방법을 같은 비중으로 담고 있다고 여겼으며, ‘용’이라는 말을 강조하여배움의 중요성, 즉 학자의 실천을 강조하였다.
    정제두의 중용 해석에는 장유의 의문이 반영되어 나타나는데 이러한 3가지의문을 자세히 분석해 보면, 결국은 하나의 결론에 이르게 된다. 그것은 중용이수도지서이며 중용 전편에서 강조하고자 한 것은 인간의 자각에 의한 실천이다.
    개인이 마음의 자각을 통해 능동적으로 중용의 도를 실천하기를 바란 것이다. 이것은 장유와 정제두가 일정 부분에서는 주자학을 수용하지만, 실천의 입장에서는양명학을 바탕으로 중용을 이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들은 인간의 실천을 강조하기 위해 수도와 수양을 중시하는 양명학의 입장에 서서 중용을 바라보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study on how Jeong Je-du reflects and interprets the three questions raised by Jang Yu after reading Jungyongjang-gu in his 「Jongyong-seol」. Jang Yu raised questions about Zhu Xi's interpretation of Jungyong through the article ''Jungyongjanggujungyuuijasam(中庸章句中有疑者三)''. In Jeong Je-du's interpretation of Jungyong, this question of Jang Yu is inherited. To summarize it simply, it is as follows.
    First, Jang Yu raised questions regarding in the first chapter 'Sudojiwigyo(修道之謂敎)', 'develop(修)' is called distributed by saint(聖人) and presenting Etiquette, Music, Punishment, Politics(禮樂刑政), which was classified by saints, as a method of 'teaching (敎)'. In response to this, Jeong Je-du defined the subject of studying and practicing Tao as a human being and presented the goal of reaching the state of sainthood through awareness of the mind. Rather than being a passive human being who just follows what the saints say, it emphasizes active and subjective practice based on the human heart that contains the character of heaven. Therefore, JungYong becomes a book for studying and practicing Tao(修道之書), and everything presented in JungYong becomes a way to learn.
    Second, Jang Yu raised questions about Zhu Xi's application of Bi-eun(費隱) only to chapters 12 to 20. Regarding this, Jeong Je-du said that even though the word Bi-eun appears only in Chapter 12, in terms of meaning, the entire content is Bi-eun. Jeong Je-du interpreted 'bi(費)' as studying and practicing Tao(修道) and 'eun(隱)' as following one's nature(率性), and viewed the gist of the entire JungYong as follow one's nature and studying and practicing Tao. Therefore, the scope of application of Bi-eun is the entire JungYong.
    Third, Jang Yu raised questions about the fact that Chapter 5 of Jungyongjanggu consists of one phrase. Jeong Je-du reorganized the 33-chapter system into 7 chapters and largely divided them into upper and lower chapters. He said that the central points of all seven chapters were following one's nature and studying and practicing Tao. In the upper and lower part system, the upper part is chapters 1 to 3 and explains the principle of things(道體) and is called the Principle(道) of Yong(庸), and the lower part is chapters 4 to 7 and describes JungYong's studies and is called Yong's Study(學). He believed that JungYong contained the Principle and study methods in equal proportions,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earning, that is, the practice of a scholar, by emphasizing the word Yong(庸).
    Jang Yu raised three questions about Jungyong, which Zhu Xi changes over as an explanatory note, and Jeong Je-du inherited Jang Yu's opinion and interpreted Jungyong.
    However, if we analyze these three questions in detail, we ultimately come to one conclusion. That is, JungYong is a book of teachings, and what was intended to be emphasized in the entire JungYong is practice based on human awareness. It is hoped that individuals will actively practice the path of JungYong through awareness of the mind.
    This shows that although Jang Yu and Jeong Je-du accept the study of Zhu Xi to a certain extent, they understand JungYong based on Yangming Studies(陽明學) from a practical standpoint. They looked at JungYong from the position of Yangming Studies, which values practicing one's principles and cultivation to emphasize human pract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