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Modern Drama as a Project of Enlightenmen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7.08
35P 미리보기
Modern Drama as a Project of Enlightenment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63호 / 165 ~ 199페이지
    · 저자명 : 황훈성

    초록

    In this paper, I have endeavored to illuminate the attributes of modern drama through tracing several manifestoes and essays made by the trailblazers based on my own taxonomy of four aspects of modern drama as well as pinpointing the point of bifurcation between modernity and postmodernity manifested on contemporary stage. My touchstone of the modernity on modern drama is whether a literary work reflects the project of Enlightenment, since at stake is less the matter of stylistics than the world view that is represented in a literary work.
    We have four quintessential components of the Enlightenment project: 1) a scientific notion of objective truth; 2) a philosophical notion of humanism based on individualism; 3) a political vision of political correctness founded on human rationality; and 4) finally a pedagogical idea of educating the public (the gist of Aufklärung is to shed the light on ignorant people). From the outset, these four attributes provide an overarching paradigm in many a crucial manifestoes of modern drama. In an effort to trace these four elements affecting the aesthetics of modernism on stage in its embryonic stage, I have made a brief survey of declarations made by those playwrights and critics following Ibsen and Strindberg.
    Firstly, Enlightenment thinkers tend to think what is permanent in truth value could be gained only in the field of natural science. Natural science is thus enthroned as the king of all sciences which dictates the legitimization of knowledge. Secondly, modern drama philosophically stands for humanism based on individualism which was burgeoning with the empowerment of the bourgeois class at the turn of nineteenth century. Thirdly, modern drama embraces the idea of political correctness founded on human rationality, Lastly, the trend of Enlightenment, as the concept(Aufklärung) signifies, is characterized by educational fervor.
    Also, I have attempted to clarify the modernity in drama clearly distinguishable from the postmodernity in our contemporary drama by pinpointing the site of their bifurcation in terms of aesthetics and politics as contested by a number of postmodern thinkers including Adorno, Baudrillard and Lyotard. The thrust of my argument is thus, that the modernity in modern drama is not sustainable in our postmodern age, since the status of reason is shakable as is depreciated as ‘instrumental rea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연극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