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율곡의 의(意)와 다마지오의 느낌(feeling) (Yulgok's Ui(意) and Damasio's Feel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9.11
32P 미리보기
율곡의 의(意)와 다마지오의 느낌(feeling)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52권 / 271 ~ 302페이지
    · 저자명 : 채석용

    초록

    이 글은 다마지오가 신경과학적으로 해명한 느낌(feeling) 개념을 율곡의 의(意) 개념과 비교함으로써 율곡 인성론의 인지적 특징을 좀 더 명확히 드러내고자 한다. 다마지오의 느낌(feeling) 개념은 여러 측면에서 율곡의 의와 비교될 수 있다. 첫째, 율곡에 의하면 정(情)은 비자각적 반응이지만 의(意)는 자각적 반응이다. 다마지오가 말하는 정서(emotion) 역시 비자각적 반응이지만, 느낌은 자각적 반응이다. 둘째, 의는 무의식적인 정(情)이 발현된 이후에 정을 대상으로 수행되는 의식적 활동이다. 느낌 역시 정서가 발현된 이후에 정서를 대상으로 수행되는 의식적 활동이다. 셋째, 율곡에 의하면 의를 올바로 수행함으로써, 즉 성의(誠意)를 실천함으로써 인간은 도덕적 선을 구현한다. 다마지오의 느낌 역시 인간을 사회적, 도덕적 선으로 이끄는 역할을 맡는다. 넷째, 의는 합리적 도덕추론을 의미하는 시비지심(是非之心)과 정서(情)를 매개하는 중간 단계로서 정서적 특성과 인지적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느낌 역시 합리적 추론과 정서의 중간 단계 반응으로서 합리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섯째, 의는 시비지심과 명확히 구분되는 반응이며, 느낌 역시 합리적 추론과 구분된다. 합리적 추론은 배외측 전전두피질에서 주로 그 작용을 일으키며, 느낌은 주로 뇌섬엽을 중심으로 하는 체성감각 영역에서 발생한다. 의의 기능인 계교상량(計較商量)은 합리적 추론을 의미하는 시비지심의 기능과 구분된다. 자각적 활동인 계교상량은 비자각적 활동인 정서(情)보다 도덕적 악에 오염될 확률이 높다. 시비지심은 정서가 유발한 사태에 대한 엄밀한 합리적, 도덕적 판단작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도덕적으로 정당화되는 활동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Yulgok‘s theory of human nature by comparing the concept of feeling that Damasio explored with neuroscience to the concept of Yulgok's Ui. Damasio's concept of feeling can be compared with Yulgok's Ui in many ways. First, according to Yulgok, Jeong(情) is an unconscious response, while Ui is a conscious response. Secondly, Ui is a conscious activity performed on Jeong after the unconscious Jeong emerges. Feeling is also a conscious activity carried out on emotions after its emergence. Third, according to Yulgok, by practicing Ui correctly, that is, by practicing Seong-Ui(誠意), humans realize moral goodness. Feelings also play a role in leading humans to social and moral goodness. Fourth, Ui is an intermediate step between Jeong(情) and sibijisim(是非之心), which means rational moral reasoning. Ui has both emotion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Feeling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ational decision making process as an intermediate step between rational reasoning and emotion. Fifth, Ui is a distinctly different reaction from Sibijsim, and feelings are also different from rational reasoning. Rational reasoning mainly occurs in the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and feelings occur mainly in the somatosensory region centered on the cerebral lobe. The function of Ui(計較商量) is distinct from that of sibijisim, which means rational reasoning. The function of Ui(計較商量), a conscious activity, is more likely to be contaminated with moral evil than Jeong, an unconscious activity. Sibijisim means a strict rational and moral judgment on the events caused by Jeong and is itself a morally justified activ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