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초기의 國邑과 6村 (Guk-eup(國邑) and Six Villages(6村) in the Early Sill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4.02
36P 미리보기
신라 초기의 國邑과 6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43권 / 43호 / 329 ~ 364페이지
    · 저자명 : 박대재

    초록

    이 글에서는 4세기 이전 신라 초기(斯盧國)의 國邑이 高墟村(沙梁部)과 楊山村(及梁部)으로 이루어진 二元的 구조였음을 살펴보았다. 건국시조 赫居世 이후 脫解尼師今까지 초기의 宮城이었던 金城은 高墟村에 위치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斯盧國을 구성하고 있던 6村 가운데 高墟村이 國邑이었던 것이다. 그러다가 婆娑尼師今 22년(101) 月城이 새로 축조되고 王城으로 이용되면서, 國邑의 중심지는 月城이 위치한 楊山村으로 이동하게 되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초기의 중심지였던 高墟村은 國邑의 제의적 중심지로 기능하며 계속 國邑의 범위에 포함되었다. 高墟村에는 赫居世와 관련된 始祖廟, 蘿井과 함께 赫居世의 妃인 閼英이 출현했던 閼英井 등 始祖 2聖을 기념하는 제사 유적이 집중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逸聖尼師今 5년(138) 金城에 政事堂이 설치되면서 阿達羅尼師今(재위 154~184년) 시기까지 다시 한동안 高墟村이 國邑의 중심지로 기능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伐休尼師今代에 月城의 宮殿을 수리하여 王宮으로 사용하면서부터 國邑의 중심지는 다시 楊山村으로 바뀌게 되었다. 이와 같이 國邑의 중심지 金城과 月城을 오가게 되면서, 國邑의 범위는 자연스럽게 高墟村과 楊山村을 두 축으로 한 2部(沙梁部, 及梁部)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沾解尼師今 3년(249) 月城의 宮殿 남쪽에 南堂이 세워지면서 月城(梁部)은 더욱 정치적 중심지로 기능을 강화하게 되었다. 한편 始祖廟, 蘿井, 閼英井 등 祭殿이 집중되어 있던 沙梁部는 더 이상 정치적 중심지로서는 기능하지 못했지만, 국가 祭儀의 중심지로서 國邑의 또 다른 기능인 제의적 기능을 지속시켜 나갔다. 이와 같이 정치적 중심지와 제의적 중심지가 공존하는 현상은 고대 도시의 보편적인 구조이기도 하다.
    신라 초기의 國邑이 高墟村(沙梁部)과 楊山村(及梁部)의 2部로 구성되어 있었던 점은 4세기 이후 신라의 王都가 6部로 정비되는 계기가 되었다. 고구려와 백제의 王都가 5부(中·東·西·南·北部)로 구성되었던 것과 달리 신라의 王都는 6부로 구성되었다. 이것은 신라 초기의 國邑(2部)에 주변 4方의 4村이 추가 편입되면서, 결국 王都가 6部로 정비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國邑 2部에서 王都 6部로의 발전 시기는, 『三國遺事』 王曆에서 基臨尼師今 10년(307)에 “網羅四方”의 뜻에서 국호를 ‘新羅’로 정했던 사실과 연관된 것으로 추정된다. 『三國史記』 新羅本紀 基臨尼師今 10년에 국호를 다시 ‘新羅’로 바꾸었다고 하는 한편, 智證王 4년(503)에도 국호를 ‘新羅’로 정했다는 기록이 중복되어 나온다. 이에 대해 전자는 王都 6部의 정비와, 후자는 지방(城·村)의 정비와 관련된 국호의 선포라고 그 의미를 구분해 보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a possibility that the early Silla(斯盧國)'s Guk-eup(國邑, prime town of a polity) had a dual structure comprised of Goheo-chon(高墟村 or Saryang-Bu; 沙梁部) and Yangsan-chon(楊山村 or Gŭpryang-Bu; 及梁部) before the fourth century. From Hyukgeose(赫居世), the founder of Silla, to Talhae(脫解) Isagŭm, the palace, Kŭmseong(金城) was conceivably located in Goheo-chon. This fact indicates that Goheo-chon was the center of political affairs among the six villages, of which Silla consisted. When Wǒlseong(月城) was built and used as a palace from the 22nd year of Pasa(婆娑) Isageum(A.D. 101), the center of Guk-eup was moved to Yangsan-chon, where the new palace was located. Yet the Goheo-chon's significance in the political affairs was not faded away, as it carried on its role as a ritual site. Thus it is supposed that the village was being included in the boundary the capital, since a progenitor's tomb and Na-jung(Na Well; 蘿井) was located in Goheo-chon, sites which had a strong connection to the founder of Silla. Additionally, there were ritual sites for Alyoung(閼英), the queen consort of Hyukgeose in the village.
    When Jungsadang(政事堂) was established in the fifth year of Ilsung(逸聖) Isagŭm(138), the Goheo-chon momentarily resumed its role of the political center until the reign of Adalla(阿達羅) Isagŭm. Still, Bulhyu(伐休) Isagŭm rebuilt the palace of Wǒlseong in the 13th year of his reign(196) and the center of Guk-eup returned to Yangsan-chon again. Hence, the bounds of Guk-eup embraced the two villages, while the center was shuttling between Kŭmseong and Wǒlseong. In the third year of Cheomhae(沾解) Isagŭm(249), Yangsan-chon fortified its role of the political center after establishing Namdang(南堂) on the southern region of Wǒlseong. Meanwhile, Goheo-chon, where once the progenitor's tomb, Na-jung, and Alyoung-jung assembled, could not perform the function of the political center anymore. Still, the village maintained its role as a center of ritual ceremony. This kind of phenomenon, a coexistence of a political center with a ritual center, is a universal structure for ancient cities.
    The characteristic that Guk-eup consists of two Bu(部), namely Saryang-Bu and Gŭbryang-Bu was a foundation for the structure that six Bu constitutes Silla's capital city(王都) after the fourth century. Unlike the capital cities of Koguryǒ and Paekch'e consisted of five Bu, Silla's included six of them. It is because, in addtion to the original two Bu, four more villages from four directions joined in the structure of Guk-eup like other countries, which originated the capital city with six Bu. The development from Guk-eup with two Bu to the capital city with six Bu was presumably the result at the early fourth century, considering the record that the name Silla(新羅) came from meaning "including all four sides(Manglasabang; 網羅四方)" in Samguk yusa. According to the Chronicles of Silla in Samguk sagi, there were overlapping records about the time when the name of the dynasty was officially decided. The first is the tenth year(307) of Girim(基臨) Isagŭm, and then the name was again proclaimed in the fourth year(503) of King Jijeung(智證). These repeated proclamations were, arguably, that the former implied the formation of the six Bu, while the latter meant reorganization of the local country into castles(城) and villages(村).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