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존 롤즈(John Rawls)의 정치철학의 형성에서 기독교적 유산에 대한 연구 ―후기 롤즈의 『만민법』과 청년 롤즈의 “죄와 믿음의 의미에 대한 짧은 탐구”의 비교 (A Study of Christian Legacies in the Development of Rawls’s Political Philosophy)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7.05
41P 미리보기
존 롤즈(John Rawls)의 정치철학의 형성에서 기독교적 유산에 대한 연구 ―후기 롤즈의 『만민법』과 청년 롤즈의 “죄와 믿음의 의미에 대한 짧은 탐구”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선교 / 50호 / 119 ~ 159페이지
    · 저자명 : 백충현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청년 롤즈의 『죄와 믿음의 의미에 대한 짧은 탐구』(1942)와 후기 롤즈의 역작 『만민법』(1999)을 상호간에 비교하여 청소년기의 기독교적 사유가 후기 정치철학의 핵심개념을 형성하는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청년 롤즈는 신정통주의 신학적 영향을 받았으며, 신의 형상으로 지어진 인간의 존엄성과 삼위일체를 반영한 공동체를 중심으로 죄와 믿음의 관계를 분석한다. 비록 그가 종전(終戰) 후에 청소년기에 가졌던 기독교 신앙을 포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기의 핵심적인 기독교 가치들은 후기 롤즈의 정치 철학에서 보다 세속적인 모습으로 재연되고 있다.
    특별히 『만민법』의 ‘원조의 의무’는 선한 사마리아 사람의 비유에 담긴 가치를 반영한 것이다. 롤즈는 평생 인류의 역사와 사회제도의 근본적 부정의와 뿌리 깊은 악을 제거하는 것에 일관된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탈형이상학적이었던 공정으로서의 정의관과는 달리, 롤즈는 『만민법』에서 다시 악의 문제, 기독교 정전론, 인간의 본성론같은 형이상학적인 주제를 조심스럽게 다루고 있다. 청년 롤즈의 사상은 유신론에 근거한 도덕적 실재론이었다면, 후기 롤즈는 합리주의적 이신론의 면모를 보이고 있다. 20세기에 가장 탁월했던 정치철학자 존 롤즈의 사상이 기독교적 배경에서 태동되었다는 사실은 그의 정치철학이 더욱 풍부한 사상적 배경을 갖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monstrate that John Rawls’s early religious beliefs guided the development of his later political philosophy. By first analyzing A Brief Inquiry into the Meaning of Sin & Faith, I argue that the young Rawls’s embrace of Neo-orthodoxy shaped his later philosophical view of human dignity and that the central themes of his undergraduate thesis reappear in secular forms in his philosophical development, despite his abandonment of Neo-orthodox beliefs soon after World War II. I will trace out the changes of Rawls’s view on his own religion through a comparison of his main works: from the young Rawls’s Neo-orthodox beliefs to the later Rawls’s rationalistic deism. In the mature Rawls’s political philosophy, I will show that the secular Rawls still holds the Good Samaritan’s ideals such as fraternity, mutual respect, love, and justice as the motivating force behind the development of his two principles of justice and the duty of assistance. My conclusion is that even though Rawls gave up the basic beliefs of the Protestant Episcopal Church, he never abandoned the religious motivations that he held in his adolescence. Both the young Rawls’s theological work and the mature Rawls’s philosophical thought share the view that there are deep inequalities and other great evils in society and human history. As a solution, while the young Rawls appeals to the restoration of community through overcoming sin by faith, through A Theory of Justice (1971), Political Liberalism (1993), and The Law of Peoples (1999), Rawls pursues the establishment of the realistic utopia of a well-ordered society that will eliminate the great evil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just social institutions. Moreover, I showed that, contrarily to his declared rejection of metaphysics in his theory of justice, Rawls engaged with metaphysical themes such as human nature, theodicy, moral motivation, and the problem of evil throughout his career, from his senior thesis to his later works. In conclusion, I compare young Rawls with later as Rawls transformed from Neo-orthodoxy into Rationalistic deism, nevertheless emphasizing that Christian values continued to motivate his work until the e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선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