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일의 장례의식과 장묘문화 연구 - 근대 이후 장례문화의 변천사와 죽음의 현대적 의미를 중심으로 (Trauer- und Bestattungskultur in Deutschland - Zur Entwicklungsgeschichte der Trauerkultur und des modernen Totengedankens)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1.06
25P 미리보기
독일의 장례의식과 장묘문화 연구 - 근대 이후 장례문화의 변천사와 죽음의 현대적 의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일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독일어문학 / 29권 / 2호 / 25 ~ 49페이지
    · 저자명 : 박현정

    초록

    죽음은 누구나 체험하는 불가피한 현상이며 우리가 반드시 다루어야 할 삶의 주제이다. 더욱이 최근 코로나로 인한 전염병의 창궐은 죽음에 관한 단상을 새롭게 한다. 우리는 죽음과 관련된 제식과 풍습 등 장례문화를 통해 서로 다른 사회적 요구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장례의례는 죽음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문화학적 단서가 될 수 있는데, 그것은 ‘사회화’의 한 측면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죽음에 대한 사회적 관념과 장례의식 등 장묘문화에 관한 독일학 연구의 일환으로서, 그 내용은 첫째, 근대 이후 장묘문화의 변화과정을 ‘죽음의 세속화’, ‘죽음의 기술화’, ‘죽음의 익명화’의 형태로 시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피셔가 제시한 근거자료를 통하여 각각의 사회적 배경과 특징, 양상을 살펴보기로 한다. 둘째, 현대 문명사회에서 고독한 개인의 죽음을 중세와 비교하여 서술한 엘리아스와 아리에스의 이론적 논의를 통해 오늘날 죽음에 대한 공포와 불안의 본질을 고찰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최근 팬데믹으로 인해 보편화되어가는 사이버 장례문화의 구체적 사례와 특징을 통해 죽음에 대한 인식전환의 가능성을 논구하고자 한다. 아리에스의 명제처럼, 묘지가 사회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축소판이며 공공성의 거울로서 기능한다면, 오늘날 디지털 묘지는 죽음에 대한 변화된 사회적 인식을 반영하는 새로운 장묘문화 공간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뉴노멀 시대의 사이버 묘지는 시공간의 제약 없이 자신의 역사와 음성, 편지를 가상의 공간에 남기고 사후에도 그를 기억하는 지인과 가족, 친구들을 결집하게 한다. 중세 말 흑사병과 같은 대규모 죽음이 우리에게 다가왔지만, 여전히 산 자는 죽은 자를 애도하고 기억하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디지털 묘지는 죽음을 회피하고 배제하는 문화가 아니라 죽음을 삶의 일부로 인식하고 삶과 죽음의 경계를 허무는 일상적 기억문화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영어초록

    Der vorliegende Artikel befasst sich mit der modernen Trauer- und Bestattungskultur in Deutschland. Es werden die verschiedenen Beerdigungskonventionen von der frühen Neuzeit bis zur Zeit von Corona untersucht. Tod und Sterben sind unvermeidliche Phänomene, mit denen jeder leben muss. Angesichts der jüngsten COVID-19-Epidemie ändern sich aber die Vorstellungen vom Tod sowie die Rituale und Bräuche bei Trauerfeiern. Da Trauer und Beerdigung für alle Gesellschaften von großer Bedeutung sind, untersucht diese kulturwissenschaftliche Studie insbesondere die Entwicklung des Todesgedankens und der verschiedenen Bestattungsformen in der Geschichte: Erstens werden die wissenschaftlichen Diskussionen über die moderne Todesvorstellung von Norbert Elias und Philippe Ariès zusammengefasst; zweitens wird die Geschichte von der Erdbestattung bis zur Feuerbestattung im späten 19. Jahrhundert bzw. frühen 20. Jahrhundert aus kultureller und historischer Sicht betrachtet. Danach werden die Merkmale der modernen anonymen Bestattungen, die sich ab dem 20. Jahrhundert mit der Feuerbestattung herausgebildet haben, unter dem Aspekt der Krise der Friedhöfe diskutiert. Schließlich werden einige Möglichkeiten digitaler Beerdigungen und Trauerzeremonien gezeigt, wie z. B. die Online-Friedhöfe im digitalen Raum sowie Youtube- und Instagram-Accounts im Internet. Der virtuelle Erinnerungsraum wurde zwar durch die Pandemie verursacht, entwickelt sich aber mit unserer alltäglichen Gedächtniskultur, die den Tod als Teil des Lebens anerkennt und die Grenze zwischen Leben und Tod verwisc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일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