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정 신자전(補訂 新字典)』의 정(訂)의 양상 고찰 - 자형과 한자음의 수정 방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Revision of the Bojeong Sinjajeon(補訂 新字典) - Focusing on the Methods of Modifying Character Forms and Hanja Pronunciations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5.05
30P 미리보기
『보정 신자전(補訂 新字典)』의 정(訂)의 양상 고찰 - 자형과 한자음의 수정 방식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전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전학 / 45호 / 68 ~ 97페이지
    · 저자명 : 신상현

    초록

    이 논문은 최남선(崔南善, 1890∼1957)이 『신자전(新字典)』의 일부분을 대상으로 ‘보(補)’와 ‘정(訂)’ 작업을 진행한 초고 자료인 『보정 신자전(補訂 新字典)』에 대해 자형과 한자음의 수정 방식을 중심으로 그 정(訂)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신자전』은 최남선이 주도해 설립한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추진한 사전 편찬 사업의 일환으로 편찬이 진행되어, 1915년 12월에 간행한 자전이다. 간행 이후 다섯 차례에 걸쳐 재판을 간행했으나, 자전의 내용을 교정하거나 표제 한자를 증보해 개정판을 간행하지는 않았다. 하지만 최남선은 별도로 『신자전』의 일부를 대상으로 교정과 증보 작업을 진행해 그 결과를 『보정 신자전』이라는 이름으로 남겼다.
    연구 진행 과정에서, 최남선이 비슷한 시기 중국에서 간행한 『新字典』과 『中華大字典』을 많이 참고하여 수정 작업을 진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전체적인 내용의 서술도 이 두 자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진행했다. 그 결과 자형의 수정에서는 ‘오자 수정’, ‘동자(同字) 수정’, ‘통용자(通用字) 수정’의 세 가지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한자음의 수정에서는 ‘한글 한자음 수정’과 ‘운자(韻字) 수정’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자전』은 근대적 개념에 기반해 국내에서 시도된 최초의 한자 자전으로, 이후 간행되는 각종 한자 사전의 모범적 방향을 제시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신자전』의 개정과 증보의 방향성과 내용을 엿볼 수 있다는 데에 사전 편찬사에서 그 의의가 있다. 특히 근대 초기 서구의 사전 편찬 방법론을 수용해 새로운 자전을 편찬하면서 상호 간의 영향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연구의 지평을 개척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s the revision aspects of the “Bojeong Sinjajeon”(補訂 新字典), which is a draft material where Choi Nam-seon(최남선, 1890-1957) conducted ‘supplementation’(補) and ‘revision’(訂) work on part of the “Sinjajeon”(新字典). The “Sinjajeon” was compiled as part of the dictionary compilation project promoted by the Joseon Gwangmunhoe(朝鮮光文會), established under the leadership of Choi Nam-seon, and was published in December 1915. Although it was published five times after its initial release, no revised editions were published to correct or expand the content of the dictionary. However, Choi Nam-seon separately carried out correction and supplementation work on parts of the “Sinjajeon”, resulting in the publication of the “Bojeong Sinjajeon”.
    In the revision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Choi Nam-seon consistently referenced and cited the existing “Xin Zidian”(新字典) and the “Zhonghua Da Zidian”(中華⼤字典) for his modifications published in China. Accordingly, the overall content description was centered on comparisons with these two dictionaries. As a result, three aspects of character form revision were identified: ‘correction of errors’, ‘modification of Identical Characters(同字)’, and ‘modification of Interchangeable Characters(通用字)’. For the revision of Hanja pronunciations, it could be divided into ‘modification of Hangul pronunciations of Hanja’ and ‘modification of Rhyme(韻字)’.
    The “Sinjajeon” is the first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attempted in Korea based on modern concepts, and it set a model direction for various Chinese character dictionaries published thereafter. Therefore,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dictionary compilation as it provides insights into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revisions and expansions of the “Sinjajeon”. In particular, by adopting early modern Western methodologies for dictionary compilation and creating a new dictionary, it offer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mutual influences between them, which could pave the way for new research horiz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