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의 죽음에 대한 애도: 프로이트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Mourning for the Death in : Based on Freud's and Derrida’s Mourning Theory)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5.03
19P 미리보기
&lt;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gt;의 죽음에 대한 애도: 프로이트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76호 / 257 ~ 275페이지
    · 저자명 : 장운경, 배상준

    초록

    인간의 삶에 필연적인 죽음에 대한 태도는 철학적·종교적으로 중요한 주제가 되어왔다. 영화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은 한 노부부의 죽음을 통해 인간이 사랑하는 이의 죽음을 직면했을 때 겪는 슬픔과 고통 그리고 극복에 관한 철학적 해석을 제시한다. 이에 본 연구는 영화 속 두 인물의 죽음을 프로이트식 애도 작업과 데리다가 주장한 애도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인간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죽음에 대한 슬픔을 극복하지만, 그렇지 못할 때 슬픈 감정은 병리적인 우울증이 된다. 프로이트는 애도자가 망자를 기억에서 분리하여 잊을 때 슬픔이 극복되고 우울증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데리다는 죽은 자를 완벽히 분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망자를 유령으로 인정하고 소환하여 대화하는 과정에서 진정한 애도가 이뤄진다고 논의하였다.
    영화 속 죽음을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관점에서 분석했을 때, 아내 트루디의 죽음에 대한 남편의 애도 작업은 우울증이 되었기에 실패로 분류되었지만, 자식들은 망자를 잊고 이전의 생활로 돌아갔으므로 그들의 애도 작업은 성공적인 것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병리적인 우울증 증세를 보였던 남편은 아내가 꿈꾸었던 도쿄로 이동하여, 그곳에서 아내의 유령을 소환하며 아내의 꿈을 실행해 나간다. 이러한 모습은 데리다가 주장한 애도의 과정이며, 남편이 죽기 직전 아내의 꿈을 실현하고 망자와 조우하였기에 성공적인 애도로 해석되었다. 이 이론들은 베를린과 도쿄라는 두 공간에서 각각 다른 영화적 표현을 통해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내가 죽는 베를린에서는 화면 분할과 죽음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사용하면서, 푸른색을 주조색으로 하여 슬픔을 극대화하였지만, 도쿄에서는 이러한 기법을 배제한 채 분홍색을 주로 표현하여 애도의 극복 과정을 구현하였다. 결국 이 작품에서 표현된 두 가지 애도의 모습과 극복 과정은 죽음과 슬픔을 금기시하는 현대인에게 애도 방법의 하나를 제시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attitude toward death, which is inevitable in human life, has been an important philosophical and religious topic. The film <Kirschbluten – Hanami> presents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he sadness, pain, and overcoming that humans experience when they face the death of a loved one through the death of an old couple.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the death of two characters in the film by applying Freudian mourning treatment and Derrida's theory of mourning. Humans overcome the sadness of death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when they do not, the sadness becomes pathological depression. Freud argued that when mourners separate the deceased from their memories and forget them, sadness can be overcome and sadness can be prevented. Meanwhile, Derrida argued that since it is impossible to completely separate the dead from human’s memory, true mourning is achieved in the process of acknowledging the deceased as a ghost, summoning them, and talking to them.
    When analyzing death in this film from the perspective of Freudian psychoanalysis, the husband's mourning for his wife, Trudy’s death, was classified as a failure because it led him to depression, but their children started to forget the deceased and returned to their previous normal lives, so their mourning was classified as successful. However, the husband, who showed symptoms of pathological depression, moved to Tokyo where his wife had dreamed, and summoned her ghost there to carry out her dream. This is the process of mourning that Derrida argued for, and it was interpreted as successful mourning because the husband realized his wife’s dream and fulfilled it. After this process he faced his deceased wife right before his own death. These theories were implemented through different cinematic expressions in the two spaces of Berlin and Tokyo. In Berlin, where the wife dies, the sadness was maximized by using split screens and images symbolizing death, and the color blue as the main color, but in Tokyo, these techniques were not shown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mourning was implemented by mainly expressing pink color. In the end, the two forms of mourning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mourning expressed in this film suggest one method of mourning to modern people who consider death and sorrow as a tabo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