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구야담 한문본 필사 오류 연구 - 음사(音寫)의 개입을 중심으로 (A Study on Chino-Korean Transcription errors of Chunggu Yadam-Focusing on the intervention of phonetic transcripti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4.12
41P 미리보기
청구야담 한문본 필사 오류 연구 - 음사(音寫)의 개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68호 / 215 ~ 255페이지
    · 저자명 : 이강옥

    초록

    본고는『청구야담』한문본의 필사 과정에서 나타난 오류 사례를 적출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시도하였다. 여기에 해당하는 사례로는 1)한자의 음이 같고 글자가 다른 경우 2)한자의 모양이 비슷하지만 글자가 다른 경우 3)한자의 음과 모양이 전혀 다르지만 뜻이 비슷한 경우 4)한자의 위치가 다른 경우 등이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1)에 해당하는 경우만을 우선 다루었다.
    먼저『청구야담』필사 과정의 음사(音寫) 원리를 재구성하였다. 다음으로『청구야담』필사 과정에 개입한 음사(音寫)의 양상과 필사 오류를 넷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1)한자음을 정확하게 읽고 기억했지만 뜻이 다른 글자로 필사한 경우 2)한자음을 정확하게 읽고 기억하여 문맥이 통하는 다른 글자로 필사한 경우 3) 한자음을 부정확하게 읽었거나 정확하게 읽었지만 잘못 기억하여 글자를 정확하게 필사하지 못한 경우 4) 한자음을 비슷하게 읽었거나 기억하고 뜻이 비슷한 글자로 필사한 경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런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청구야담』이본 비교에서의 음사 오류 현상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먼저 음사 오류 현상에 대한 분석의 결과를 통하여,『청구야담』이본 중 최선본이라 할 <버클리대본>과 그 다음 많은 단편을 싣고 있는 <동양본>, 그리고 6책본을 대표하는 <국도본>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따질 수 있었다. 그 결과 <국도본>은 <동양본>보다는 <버클리대본>과의 상친성이 더 클 수도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음사 오류 현상을 이본 간 선후 관계를 해명하는 데도 적극 활용할 방안을 도출하였다. 국어 음운 변천에서 ‘ㅚ’와 ‘ㅗ’의 교체 현상,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 현상을 참조하여 이본 간 선후 관계를 밝힐 수 있었다.
    후대본으로 짐작되는 이본일수록 음사 표기의 오류가 더 많이 난다는 원칙을 세울 수 있었다. 음사의 오류가 있는 이본은 그렇지 않는 이본보다 앞설 수 없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보았다. 그런 방법론과 원칙으로써 <버클리대본>이 <동양본>보다 앞선 이본임을 밝힐 수 있었다.
    『청구야담』한문본에는 한자의 비슷한 모양을 두고 일어난 필사 오류도 음사 오류 못지않게 많다. 또 부수(部首)의 오류는 소리와 모양이 함께 개입하여 생긴 필사 오류이다. 앞으로 이 두 국면에 대한 분석을 이어가서『청구야담』한문본 필사 오류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명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udies cases of errors incurred in the process of transcribing Chunggu Yadam in Chino-Korean and analyzes the reasons of their errors. Four prominent reasons can be traced: the first type of errors occurring from homonyms; the second from words with similar shapes but different letters; the third from words with similar meanings but different sounds and shapes; the last from the different location of Chino-Korean letters. This paper limits its analysis only to the first cases.
    First, this paper illuminates the principles of phonetic transcription of Chunggu Yadam and then proceeds to analyze four types of errors resulting from the phonetic transcription process. 1) The first cases occurred when the transcriber used letters with different meanings even though he read and remembered the original texts correctly. 2) The second cases happened when the transcriber replaced the original words with the letters with same meanings that he thought were more suitable to the context. 3) The third cases resulted from incorrect transcription due to misreadings or false memories of the original words. The last cases were results of transcribing similar letters based on mistaken readings and rememberances of similar letter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utilizing these errors in phonetic transcription for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editions of Chunggu Yadam. A Principle can be deduced that an edition presumed to be a later version has more phonetic transcription errors. An edition with phonetic transcription errors has little chance of being an earlier version than that without errors.
    Chino-Korean version of Chunggu Yadam contains fair numbers of transcription errors due to similar shapes of letters. Further analysis of these errors is necessary for a comprehensive study of transcription errors of Chino-Korean Chunggu Yad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