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률 영화의 환상성 연구 -죽음, 틈, 겹침의 미학- (A Study on the Fantastic Nature of Zhang Lu’s Films -Aesthetics of Death, Gap and Overlap-)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7.02
29P 미리보기
장률 영화의 환상성 연구 -죽음, 틈, 겹침의 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현대영화연구 / 13권 / 1호 / 211 ~ 239페이지
    · 저자명 : 이청

    초록

    이 글은 장률 영화에 나타나는 환상성의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그동안 장률은 장소의 폭력성 그리고 죽음의 무상성 등의 주제에 천착해 왔다. 그런데 최근 그의 영화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성 중 하나가 현실 논리를 벗어나는 환상적 요소이기에 장률이 그러한 방식과 내용에 경도된 까닭을 살핀다면 그의 영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흔히 환상성을 기법에서 다룰 때는 현실에 없는 것을 주로 지칭한다. 현실에 존재하더라도 기이한 것, 비정상적인 것이 대체로 환상적 지표가 된다. 그러나 장률 영화에 등장하는 환상은 이전의 영화들이 주로 선택했던 시각적인 차원의 괴이함과는 차이가 있다. 그것은 죽음과 시간의 순서나 배치를 교란함으로써 발생하는 비현실성에서 비롯된다. 누구나가 죽음을 맞지만 언제 어떤 식으로 맞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장률은 그 불확정성을 불가능성과 결부시켜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비현실적 요소들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이는 다큐멘터리 <풍경> 이후 시도된 것으로서 후속 작품으로 갈수록 더욱 짙어지고 있는 경향이다. 이 글에서는 <경주>, <필름시대사랑>, <춘몽>을 분석 텍스트로 삼고 장률 영화의 환상성을 고찰하였다. 세 영화 모두 죽음과 사랑에 대해 다루고 있었는데 환상을 구축하는 미학적인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첫째는 죽음의 미학으로 장률이 죽음에 드리워진 것, 있었으나 증명할 수 없는 기억과 시간을 다룬다는 것이다. 둘째는 틈의 미학으로 주체와 대상 사이의 욕망이 결핍으로부터 발생하듯 필름 영화에 대한 장률의 결핍이 그에게 새로운 욕망을 불러일으킨다는 것이다. 셋째는 겹침의 미학으로 시공간을 포개어 생성된 중첩된 이미지들이 흔적으로 남은 사랑의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see the meaning of the fantastic natures shown in films directed by Zhang Lu. Zhang Lu has pursued certain themes, such as the violence of a place and nothingness of death, so far. However, since one of the conspicuous features found in his recent films is the fantastic nature beyond the rational logic of the present, it was considered that figuring out why he got captivated by such a way and themes would be helpful to comprehend his films. When dealing with the fantastic nature in terms of the film technique, it usually indicates something not existing in the reality, or something weird and abnormal even if it exists in the reality.
    But fantasy appeared in Zhang Lu’s films shows differences from visual bizarreness adopted by the former films. His fantasy derives from unreality which occurs by throwing the order or sequence of death and time into confusion.
    We all die one day, and none of us knows when and how we die. Abd Zhang Lu connects that uncertainty with impossibility in order to reveal unrealistic factors obviously existing in the reality. He attempted this first in his documentary titled <Scenery>, and this tendency has become more prominent in his succeeding works.
    In this research, <Gyeongju>, <Love and...>, and <A Quiet Dream> were chosen for the texts to analyze, and based on these, the fantastic nature shown in Zhang Lu’s films were examined. All the three films mainly deal with death and love, and aesthetic features constituting the fantastic nature in the film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The first is the aesthetics of death; Zhang Lu deals with something shadowing over death, and memory and time which definitely have existed but cannot be proven. The second is the aesthetics of gap; just like a desire between a subject and an object comes from deficiency, Zhang Lu’s deficiency about film movies arouses a new desire in him. The third is the aesthetics of overlap; overlapped images created by time and space folded each other mean vestigial remains of lo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