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음, 自我의 消滅過程에 대한 탐색 -『圓覺經』에 나타난 自我의 生滅實相과 티베트 불교의 죽음과정에 대한 敎說을 중심으로 (A Review on Death, the disappearing process of the self -Focusing on the reality of the self appearing in the Universal Vision Bodhisattva Chapter of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and the Death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5.06
24P 미리보기
죽음, 自我의 消滅過程에 대한 탐색 -『圓覺經』에 나타난 自我의 生滅實相과 티베트 불교의 죽음과정에 대한 敎說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45호 / 347 ~ 370페이지
    · 저자명 : 권영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의 가르침에 나타난 自我의 生滅實相을 탐색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이해에 깊이를 더하고 나아가 자신의 존재가치와 삶의 의미를 되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있다. 불교는 태생적으로 生死問題의 근원적 해결에 초점을 맞추어 2,500여 년을 일관되게 내려오고 있으므로 죽음에 대한 가르침이 대단히 광범위하고 다양하며 심오하다. 본 연구에서는 죽음에 대한 성찰을 통하여 自我의 實相을 觀하는 수행으로 圓覺을 證得하는 길을 일깨워주는『圓覺經』普眼菩薩章의 가르침과 죽음에 대한 깊은 이해로 잘 알려진 티베트 불교의 죽음 과정에 대한 敎說을 중심으로 ‘나’의 존재가 어떻게 生成되고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죽음에 이르러 어떻게 消滅되는지에만 초점을 맞추어 논의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붓다는 말세중생이 세상의 진리를 확연히 깨달을 수 있는 길을 묻는 보안보살에게 ‘戒를 굳건히 하고 깊은 奢摩他行에 의지하여 죽음 앞에 자신의 모습이 어떻게 되는지를 깊이 성찰해보라’는 가르침을 주었다. 이것은 간단히 말해 깊은 ‘죽음 명상’을 통하여 自我의 實相을 올바로 깨달으면 圓覺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을 일깨워준 것이다. 붓다의 이 가르침에 의지하여 철저한 수행생활로 일관해온 티베트의 殊勝한 스승들이 깊은 죽음 명상을 통해 실제 체험하고 알게 된 自我의 實相과 붓다가 앞의 경전에서 일깨워준 가르침이 결코 다르지 않다는 사실을 새삼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가 ‘나’라고 믿고 그처럼 집착하고 매달리는 自我의 實相은 깊이 성찰해보면 결국 ‘나’라고 할 만한 일정한 正體性(identity)도 없으며[無我], 因緣和合으로 만들어진 緣起的 존재로서, 幻과 같고[空性], 이러한 幻인 ‘나’는 因緣이 다하여 죽음에 이르면 다시 흩어져 자연으로 되돌아간다.
    그렇다면 문제는 어떻게 하면 幻華에 불과한 허망한 ‘나’에 매달려 오직 부와 명예와 나의 것들이라 생각되는 모든 것을 위하여 지금처럼 헌신하며 헐떡거리는 고단한 삶에서 벗어나 청정한 圓覺이 顯現하는 의미 있는 삶을 지향할 수 있느냐이다. 이를 위하여 제시해준 方便이 ‘正念으로 죽음을 깊이 성찰하는 명상수행을 생활화하라’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우리의 삶을 늘 새롭게 관조하며 올바른 길로 나아가도록 이끌어주는 귀중한 가르침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iming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our dying and death by 370to provide with the opportunity to review the value and meaning of one's life. The Buddhist teachings on death is very diversified, deep, and extensive, because the purpose of Buddhism has been how to overcome the sufferings from life and death to the root for more than 2,500 years consistently from the beginning.
    This study focuses mainly on the reality of the life and death of the self appearing in the teachings of 『the Sutra of Perfect Enlightenment』and Tibetan Buddhism which is well known by its deep understanding on death. The Sutra teaches the way to the Perfect Enlightenment by mindfulness meditation on death for the people who yearn for the pure enlightened mind of the Tathāgata.
    When the bodhisattva Universal Vision begged of the Buddha on behalf of the sentient beings of the degenerate age, to expound on the expedient means to be devised to cause them all to get enlightened, Buddha gave him the teaching that they should correct their thought and rid themselves of all illusions, first relying on the Tathāgata's practice samatha. Firmly established in moral discipline, then they should uninterruptedly be mindful of the question "When we were dying and the Four Elements might have been separated, what would happen on the false body?" In brief, this means that you can get enlightened if you were able to realize the reality of yourself by deep mindfulness meditation on death.
    Not a few venerable masters in Tibetan Buddhism, who had lived their lives with thorough practice following the Buddha's teaching, showed us evidently again that, the reality of the self in the Buddha's teaching is not really different from what they had experienced and found by the deep mindful meditation on death.
    We usually believe in ego 'I' as a personal, separate and unique identity so firmly that we always eagerly want to attach and hang on it. But if we look deeply into the reality of the ego, it does not have any constant identity[no-self] and only a synthesis of beings which are interrelated and interdependent on each other[co-existence]. So ultimately, the ego appears apparently as only an illusory object. And when such an illusory object 'I' spends all its energy to sustain the interrelationship with necessary beings, it will die, separate and scatter back into the nature.
    Now the most important issue is how to come out of the present foolish life attaching to one's false self, ego so desperately and gaspingly, and let one's life direct to cultivating Enlightened Buddha's mind, and finally realize meaningful true life. As an expedient mean for this purpose, Buddha taught us the way: Firmly keeping in moral discipline by coherent mindful watching and living in harmony with neighbours, then practicing meditation on death in deep concentration with silent sitting in a quiet room. This message should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teaching which we should always keep in mind and put into practice in our daily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