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죽음의 타자성 연구 (A Study on the Otherness of Death Shown in Park, Kyongni’s 『Toji』)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0.10
28P 미리보기
박경리 『토지』에 나타난 죽음의 타자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72호 / 99 ~ 126페이지
    · 저자명 : 서현주

    초록

    이 논문은 『토지』에서 타자의 죽음을 경험한 주체가 죽음의 타자성을 인지하여 향유적 주체를 폐기하고 윤리적 주체로 변모하는 과정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레비나스의 죽음론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레비나스는 죽음이 경험될 수 없음, 느닷없는 도래성, 수동성, 가능성의 불가능성의 특징으로 인해 절대적 타자성을 가진 것으로 보았다. 주체가 죽음의 두려움과 불안, 유한성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타자의 죽음에 죄의식과 책임감을 깨달아 윤리적인 주체로 나아가는 것이다. 작품에서 서희와 용이는 가문과 도리라는 자기중심적 가치에서 타자의 죽음을 계기로 향유적 주체에서 윤리적 주체로 나아가게 된다.
    작품의 주요 인물인 서희가 향유적 주체에서 윤리적 주체로 변모하게 되는 계기는 주치의(主治醫) 박효영의 죽음이다. 서희는 박효영이 죽기 전에는 가문을 중시하는 인물이어서 박효영의 자신에 대한 사랑과 그로 인한 불행을 그의 개인적 고통으로 치부하고 외면했으나, 박효영이 죽은 후에는 죄책감과 책임감을 느낀다. 이는 자기규범성에 갇힌 서희가 박효영의 죽음에 대한 애도를 하인이나 남편인 길상이 앞에서 흐느끼며 우는 행위로 드러내는 것에서 알 수 있다. 주체는 타자의 죽음을 통해서 자기중심적이었던 자신을 넘어 타자의 환대에로 나아가는 것이다. 이렇게 변모한 서희는 박씨부인, 양현, 지리산 청년들에게까지 윤리적 환대를 확장시킨다.
    용이가 자기중심적인 자아에서 벗어나서 타자와의 윤리적 관계를 맺는 윤리적 주체로의 변모를 보이는 계기는 월선의 죽음이다. 월선이가 암에 걸려서 신체적 고통의 극한에 이를 때 용이는 정신적 고통의 극한까지 자신을 몰아넣어 월선이의 고통에 동참한다. 타자의 고통에 동참하여 동질화 하는 것은 불가능성을 함께 수용하는 진정성 있는 타자에 대한 위로이며 책임이다. 용이가 월선이의 임종을 정성을 다해 경건한 치르는 것, 임종 후에는 며칠 깊은 잠을 잘 정도로 가사상태에 빠지는 것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용이는 월선이의 죽음 후에는 타자를 자신의 가치기준으로 재단하지 않으며, 향유적 주체를 넘어선 타자에로의 윤리적 지향을 보이기 때문에 죽음에 대한 두려움도 없다.
    이 논문은 『토지』의 주요 주제 중의 하나인 죽음을 주체의 죽음과 그 의미가 아니라 타자의 죽음이 주체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봄으로써 작품에서 드러나는 죽음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한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죽음은 결코 경험될 수 없다는 점에서 타자성을 가진 것으로 주체의 죽음보다 타자의 죽음으로 인한 주체의 변모를 살피는 일도 중요하다.

    영어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es in which subjects who have experienced other’s death perceive the otherness of death, discard a subject of jouissance, and then change into an ethical subject in 『Toji』. For this, Levinas’ death theory was utilized as the framework of analysis. Levinas viewed that the death would have the absolute otherness due to its characteristics like something that cannot be experienced, unexpected advent, passivity, and impossibility of possibility. A subject could get out of fear, anxiety, and finitude of death only when moving toward an ethical subject by realizing a sense of guilt and responsibility for other’s death. In the work, Seo-Hee and Yong-Ei who have the self-centered value such as family and duty, get changed from subjects of jouissance to ethical subjects with a chance of other’s death.
    As a main character of this work, Seo-Hee is changed from a subject of jouissance to an ethical subject after her doctor, Park, Hyo-Yeong’s death. As a person who regards her family as important, Seo-Hee simply treats and disregards Park, Hyo-Yeong’s love for her and his unhappiness by that as his personal pain before he dies. After Park, Hyo-Yeong dies, she feels a sense of guilt and responsibility. Seo-Hee who is locked in self-normativity reveals her condolences on Park, Hyo-Yeong’s death by sobbing in front of her servant or husband, Gilsang. Through the death of others, the subject moves toward the hospitality of others beyond oneself who used to be self-centered. Seo-Hee who has been changed like this, expands the ethical hospitality even to Mrs. Park, Yang-Hyeon, and young men from Mt. Jiri.
    After Wolseon’s death, Yong-Ei is changed to an ethical subject having ethical relationships with others by getting out of his self-centeredness. When Wol-Seon gets to the extremity of physical pain caused by cancer, Yong-Ei participates in Wolseon’s pain by driving himself into the extremity of psychological pain. The homogenization by participating in other’s pain is the genuine consolation and responsibility for others, which could accept the impossibility together. This is shown in which Yong-Ei sincerely and devoutly stays by Wol-Seon’s deathbed, and then he falls into a state of suspended animation for several days after her death. After Wol-Seon’s death, Yong-Ei shows the ethical aim for others beyond a subject of jouissance without judging others based on his value standard. so that he has no fear of death.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o newly interpret the meanings of death shown in the work 『Toji』, by examining the influences of others’ death on the subjects, instead of the subjects’ death and meanings in the work where the death is one of the main themes. As the death cannot be experienced, it has the otherness, so that it is also important to examine the subjects’ changes caused by other’s death, rather than the subjects’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