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 한중 한자음 비교 연구 -운모를 중심으로- (A Study of Modern Korean and Chinese’s letter’s sound)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08.08
20P 미리보기
현대 한중 한자음 비교 연구 -운모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27권 / 225 ~ 244페이지
    · 저자명 : 이병찬

    초록

    본 연구는 한국 한자음의 운모를 중심으로 현대 중국 한자음의 한어병음 운모와 비교한 것이다. 연구의 효율성과 활용도를 고려하여 상용자 3500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 대상은 한국 한자음에 존재하는 운모 75개와 중국어의 운모 37개이며 한국 한자음을 중심으로 통계를 내어 상관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운모의 경우 중국의 한자음은 종성에 ‘n’ ‘ng’만 남아있기 때문에 고대 한자음의 고유한 종성을 그대로 많이 유지하고 있는 한국 한자음이 특성상 더 다양한 운모를 가지고 있어 그 편차가 클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한자음 운모 ‘야’, ‘염’, ‘왁’의 경우처럼 완벽히 각각 중국 한자음 운모 ‘ie(ye)’, ‘ian’, ‘uo(wo)’ 하나로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한국 한자음 ‘아’, ‘앙’이 중국 한자음 성모 ‘a’ ‘ang’으로 표기되는 경우처럼 유사음 표기가 가장 많은 것이 일반적 현상이다. 따라서 표면상으로는 한국 한자음 하나의 운모가 중국 한자음에서는 다양하게 표기되지만 실질적으로 대부분은 유사음이거나 유사음에 가까운 운모이다. 게다가 한국 한자음 운모 '아'는 중국음에서는 권설음과 결합되면 설첨모음인 ‘i’로 표기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특정 성모와 운모의 선호 현상을 고려하면 그 법칙성과 상관성은 더 높아질 것이다.
    한국과 중국의 한자음이 고대에서 지금까지 상당한 변화를 겪어온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현대 한국과 중국의 한자음을 비교하여 보면 거의 일치하는 성모와 운모도 존재할 정도로 규칙성을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 때문에 이러한 유사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는 비교 자료가 제공된다면 한국인의 중국어 학습이나 중국인의 한국어 학습에 상당한 도움이 되리라고 본다. 또한 대부분의 중국어 학습자들이 기초적인 한자의 한국 한자음을 인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본연구의 이러한 정리는 학습의 혼란을 막고 정확한 학습에도 기여하리라고 본다.
    본고는 자료의 방대함으로 인하여 연구의 편의상 먼저 성모와 운모를 분리하여 그 상관성을 정리하였다. 하지만 앞으로 성모와 운모의 선호 현상 등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고찰과 세밀한 분석을 한다면 한・중 언어의 상관성을 이해하는 더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clarify between the vowel of Modern Chinese’s letter’s sound and the vowel of Korean Chinese’s sound. Its object is 3500 letters of Chinese with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of this research and the inflected rate. Comparing objects are vowel 75 letters of Chinese letters in Korean and Vowel 37 letters of Chinese. Also this research has analysed by the statistics of Korean Chinese sound.
    Following the result, in case of vowels, it maintained the original final sound of ancient Chinese sound’s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nese sound. And its difference gap is big due to above characteristic.
    The target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the relation of general vowels without coherence of special consonants. The result has come from comparing vowels only. Especially, in above case, its deviation should be big because of remaining final sound ‘n’ and ‘ng’ in Chinese. But the vowel ‘야’, ‘염’, ‘왁’ in Koran Chinese sound marked perfectly as ‘ie(ye)’, ‘ian’, ‘uo(wo)’ in the vowel of Chinese sound. And marking similar sound such as ‘아’, ‘앙’ in Korean Chinese letters to ‘a’, ‘ang’ in Chinese letters is general phenomenon. Therefore, on a diagram, one vowel marks several vowels, but most of vowels are similar sounds or the vowels of close to the similar sound. Moreover, when Korean Chinese sound ‘아’ coherence with retroflex, ‘아’ changed to apical vowel ‘i’. Considering prior phenomenon of the special consonants and vowels, the principle and the relation are getting higher.
    It is true that the Chinese letters’ sound between Korea and China has been changed until now. However, there are various resemblances comparing the Chinese sound between Korean and Chinese. Also, The principle which exist almost same consonant and vowel is maintaining now, thus its study would be helpful to Korean Chinese students and Chinese Korean students in both.
    In case of vowel, its relation rate is not high by comparing the consonants, but it is difficult to deny its relation rate. Considering most of Korean Chinese students recognize basic Chinese letters’s Korean Chinese letters’ sound, this research would be helpful to them to protect the confusion of Chinese sound study and correct study.
    This paper is summarized the relation by distinguishing the consonants and vowels at first for convenience of the study due to huge data. But its result would be the good data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Korean and Chinese language, if total inspection and specific analysing has done with considering prior phenomenon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At last, this research’s target is to guarantee study data by statistics. Thus it is clarified that marking characteristics of pronunciation both of Korean and Chinese and the gap of practical pronunciation are not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