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경리 『토지』와 ‘웃음’ 의 수행성 (‘Toji’ by Park Kyong-ni and Performance of ‘Laughter ’)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2.11
26P 미리보기
박경리 『토지』와 ‘웃음’ 의 수행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학연구 / 53호 / 229 ~ 254페이지
    · 저자명 : 김연숙

    초록

    이 논문은 박경리의 『토지』(1969-1994)를 대상으로 개별 인물들이‘웃음’ 을 통해 정체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기존 연벼리구에서는 주로 ‘풍자’ 와 ‘해학’ 을 중심으로 웃음의 저항적이며 비판적인 특성과 유희적특성을 논의해 왔다. 그 연구들이, 텍스트가 독자에게 수용되는 효과를 전제로 웃음의작동방식을 논하는 것이라면, 본고에서는 작품 내 웃음 발생자인 인물을 주목하고자 했다. 그 결과 자기 삶을 긍정하는 웃음의 양상, 자기 긍정이 체화된 웃음의 양상을 확인할수 있었다.
    전자는, 『토지』의 대표적 안타고니스트 조준구의 아들이자, 척추장애인인 조병수의사례이다. 그는 부모와 결별하고, 자신의 주체적인 자발성을 확보한 이후에야 적극적인웃음을 드러낸다. 이때 웃음은 스스로의 삶을 긍정하는 증표이자, 자기 정체성 확보의 신호로 해석가능하다. 이처럼 고통스러운 과정을 거친 이후 결과적으로 자기의 삶을 긍정하는 자의 웃음에 비해, 후자의 경우는 애초부터 긍정적인 웃음을 체화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여기에 해당하는 인물은 허윤보와 주갑이다. 이들의 웃음은 전략이나 수단으로의도된 것이 아니라, 삶의 태도이다. 따라서 그들의 웃음은 웃는 존재로서의 자기정체성을 보여준다는 의미가 있다. 그것은 세상에 대한 긍정/부정의 이분법적 인식을 넘어서서 자유롭게 살아가는 존재론적 특성이었다. 이와 같은 특성은 『토지』에서 드러나는 ‘한(恨) ’ 의 정조를 해석하는데에도 도움이 된다. 즉 ‘한’ 이 긍정/부정 혹은 기쁨/슬픔이라는대조적 세계의 어느 한 쪽으로 귀속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나아가 삶을 긍정하고, 웃음을 삶의 본질로 구현한다는 것은 결국 세계와의 불화(不和) 속에서 그 변혁의 단초를 제공하는 일임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individual characters secure their identity through ‘laughter ’ with the novel ‘Toji ’ by Park Kyong-ni, also known as Land (1969-1994). Existing studies have mainly discussed the resistive and critical and playful characteristics of laughter, focusing on ‘satire ’ and ‘humour ’ . If those studies discuss how laughter works on the premise that the text is accepted by the reader, this study sought to focus on the person who caused laughter in the work. As a result, the aspect of laughter affirming one ’ s life and the aspect of laughter internalizing self-affirmation were confirmed.
    The former is the case of Jo Byeong-su, a hunchbacked person, the son of Jo Jun-gu, a representative antagonist of ‘Toji ’. He reveals his active laughter only after breaking up with his parents and securing his own spontaneity. In this case, laughter can be interpreted as a sign of affirming one ’ s own life and a signal of securing one ’ s own identity. As a result, compared to the laughter of the character who affirms his life after going through such a painful process, the latter case showed positive laughter from the beginning. The corresponding figures are Heo Yun-bo and Jugap. Their laughter is not intended as a strategy or a means, but an attitude of life. Therefore, their laughter has the meaning of showing their identity as smiling beings. It was an ontological characteristic of living freely beyond the binary recognition of positive/negative about the world.
    Such characteristics are also helpful in interpreting the chastity of ‘Han(恨)(Unrequited Grievance)’ revealed in ‘Toji’. That is, ‘Han’ does not belong to either side of the contrasting world of positive/negative or joy/sadness. Furthermore, it is confirmed that affirming life and realizing laughter as the essence of life ultimately are t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at transformation in the midst of discord with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