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訒齋 崔晛의 戰亂期 現實認識과 對應方式 - 가사 <明月吟>과 <龍蛇吟>을 중심으로 (In Jae Choi Hyeon’s awareness of reality and reaction to war period - Focusing on gasa Myeolwoleum and Yongsaeum)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0.05
31P 미리보기
訒齋 崔晛의 戰亂期 現實認識과 對應方式 - 가사 &lt;明月吟&gt;과 &lt;龍蛇吟&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어문교육 / 31호 / 179 ~ 209페이지
    · 저자명 : 은필관

    초록

    본 연구는 16~17세기 인물인 인재 최현(1563~1640)의 가사작품을 통해 전란기 동안 그의 현실인식과 대응방식을 살피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필자는 <명월음>과 <용사음>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그의 문집에 기록된 그의 한시와 상소, 편지 등을 그 자료로 삼았다.
    그 결과 현실인식의 측면에서 <명월음>은 명월에 대한 정서를 서정적으로, <용사음>은 일치일란의 역사적 참상에 대한 자탄과 위정자들에 대한 분노를 직설적으로 드러냈음을 확인하였다. 대응방식의 측면에서는 두 가사작품 모두 정명의식의 촉구를 강조하였으며, 특히 <용사음>에서는 실제 역사적 의병인물들을 거론하며 교술문학의 전형을 보여주었다. 최현이 창작한 두 가사 작품은 전란기 가사문학에서 서정과 교술을 균형적으로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겠다.
    최현이 보여준 <용사음>의 실제 의병인물 거론은 그의 역사인물에 대한 명확한 포폄의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역사적 인물의 찬양은 자신이 창작한 몽유록 <금생이문록>에서도 확인된다. 필자는 <용사음>에서의 의병 공적 찬양이 확고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창작된 것으로 전란기 현실에서의 적절한 대응방식임을 밝혔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reality and response of Choi Hyun (1563-1640) during the war period through his works. This study used his literary works, such as Chinese poems, appeal, letters, etc. to comprehensively examine Myeolwoleum and Yongsaeum.
    The result shows that, in terms of real-life recognition, Myeolwoleum showed lyrically the writer’s sentiment toward Myeolwoleum, and in Yongsaeum, the writer directly expressed his remorse for the historical tragedies and his anger at the hypocrites. In terms of response, both lyric works emphasized the urge for Cheng Ming (正名), and Yongsaeum, in particular, demonstrated an example of didactic literature by mentioning some people from actual righteous army. These two works by Choi Hyun showed a balanced display of lyricism and didactic in the period of the war.
    Choi Hyun's referral to the actual figures in the righteous army in Yongsaeum can be seen as based on his clear sense of praise and censure over historical figures. His praise of historical figures is also found in Kumsangemunrok, a mongyurok (夢遊錄). This study reveals that the praise of the righteous army in Yongsaeum was done with a strong sense of purpose, and was a proper response to the wartime re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