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쇼펜하우어의 죽음에 대한 고찰 (Eine Untersuchung über den Todesbegriff bei Schopenhau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2.01
25P 미리보기
쇼펜하우어의 죽음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67권 / 1호 / 235 ~ 259페이지
    · 저자명 : 이서규

    초록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죽음은 모든 존재가 경험하는 근원적인 현상이다. 특히 그는 죽음이라는 현상이 인간에게 숙명적으로 다가온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죽음에 대한 형이상학적 고찰의 필요성을 언급한다. 인간은 다른 어떤 존재보다도 죽음에 대해 두려움을 갖고 살아갈 수밖에 없으며 살아있는 동안에 이러한 유한성을 끊임없이 자각하는 존재이다. 그러나 쇼펜하우어는 역설적으로 이러한 죽음이 우리에게 세계와 삶의 본질과 가치에 대한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고 생각한다. 그는 죽음에 대한 형이상학적 성찰을 통해서 죽음이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불안감을 극복할 수 있고 나아가서 세계 속에서의 모든 존재가 생성하고 소멸하는 근원적인 이유를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 즉 죽음의 본질에 대한 형이상학적 성찰을 통해서 우리를 사로잡고 있는 죽음에 대한 불안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통로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우리가 세계와 우리의 존재에 대한 형이상학적 성찰이 결여되었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다.
    글쓴이는 이 논문에서 쇼펜하우어의 의지형이상학을 토대로 죽음이라는 현상이 지닌 형이상학적인 의미와 문제점들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쇼펜하우어가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1판 54절,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 2판 41절 ‘죽음과 우리의 본질 자체의 불멸성에 대한 죽음의 관계에 대하여’ 그리고 『Parerga und Paralipomena』 2권중에 ‘우리의 참된 본질의 불멸성에 대하여’, ‘현존재의 비존재에 대한 보충’, ‘자살에 관하여’에서 제시한 죽음에 대한 몇 가지 논의들을 살펴볼 것이다. 여기에서는 첫 번째로 우리가 갖고 있는 죽음에 대한 불안에 대해서 논의하도록 할 것이다. 두 번째로는 쇼펜하우어가 시간의식을 어떻게 이해하는가를 살펴보고 이것이 죽음과 갖고 있는 연관성에 대해서 다루어 볼 것이다. 세 번째로는 개체의 죽음이 지닌 특성들을 살펴보고 여기에서 쇼펜하우어가 개체의 불멸성이 어떤 이유에서 부정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쇼펜하우어의 죽음에 대한 고찰이 왜 자살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평가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영어초록

    Schopenhauer zufolge ist der Tod des Menschen nichts anderes als dasjenige, welches die die Natur uns aufgegebene Strafe sei. Und es ist zweifelsohne kar, daß uns der blinde Wille zum Leben in die Stunde des Todes bringt. Da Schopenhauers Philosophie behauptet, daß alle Menschen von diesem blinden Willen zum Leben abhängig seien, muß man seinen Tod als ein unvermeidbares Schicksal annehmen sollen. Trotzdem müssen wir hier erwähnen, daß im Phänomen des Todes ein Paradoxen liegt. Schopenhauers Meinung nach ist der Mensch zwar ein endliches Wesen, das zunächst und zumeist große Angst vor dem Tode hat. Aber er kann auch solche Angst überwinden dadurch, daß er metaphysische Betrachtungen über das Phänomen des Todes und sein Wesen an sich durchführt. In diesem Aufsatz werde ich das Problem der Unsterblichkeit des Menschen und Todes aufgrund der Willensmetaphysik Schopenhauers untersuchen. Zuerst wird hier das Phänomen der Angst vor dem Tode und dann das Zeitbewußtsein des Menschen untersuchen. Und dann werde ich untersuchen, welchen Sinn der Tod des Individualen hat und warum Schopenhauer die Unzerstörbarkeit des Individualität verneint. Auch weiterhin wird in diesem Aufsatz untersuchen, welchen Sinn der Selbstmord bei Schopenhauer hat und warum Schopenhauer gegen Selbstmord sein so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