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가(儒家)의 음(音)사유체계에서 나타나는여음(餘音)담론의 단서 (The Clue of Ambience Sound of Music theory of Confucianism)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8.11
20P 미리보기
유가(儒家)의 음(音)사유체계에서 나타나는여음(餘音)담론의 단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73호 / 105 ~ 124페이지
    · 저자명 : 이우영

    초록

    이 글은 동아시아 유가(儒家)에서 논하고 있는 음(音), 그리고 이것이 은유하고 있는 특수한 사유 체계를 조망하려고 한다. 이를 좀 더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유가의 사상에서 드러나는 독특한 특징들을 서구 근대음악론들과 비교해보며 논술하고자 하는데, 이것을 통해 궁극적으로 동양 음악 문화 속에 존재하는 독특한 담론들 중에 하나인 여음(餘音, ambience)의 존재 근저들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주지하듯 유가의 우주론과음의 관계는 도덕적인 역할과 현실적 인간의 긴장 단계를 상호보완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도구적 장치로 간주되고 있다. 천인합일(天人合一)적 자연관에 녹아들어있는 음(音) 생성론은 자연히 인성론으로 연결되며, 결과적으로는 인간의 본성자체를 조명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개별적으로 남아있는 개인성과 음의이면적 성질을 은유하는 유음(遺音)이라는 개념이 도출됨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음은 개인의 사밀성을 우회적으로 언급하는 것이다. 음의 근원자체를 인간의 심성에서 발동하고 공명되는 소리로 정의 내린다는 점에서 강력히 작용하는 개인성의 자유의지를 함유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때 여음은 자신의 사밀적 내부에서 알맞게 적절히 향유하고 변주되는 무규정적 움직임이다. 또 수용 미학적 측면에서 그것은 각각의 개인이 내재된무의식속에서 미세한 느낌들을 결합시키는 인식작용을 한다.
    여전히 이성주의와 기술문명 속에서 여음은 존재론적으로, 인식론적으로 불명확한 상태에 놓여 졌기 때문에언급을 회피하거나 배제되기 쉬운 대상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동양의 전통 사유 중 매우 영향력 있게 적용되는 유가사상에서 암시되는 여음의 정체에 대해 올바로 규명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intended to survey the sound(音) being discussed in East Asian Confucianism(儒 家) and the special thinking system of its metaphorical expression. In order to approach this more effectively, it is going to compare and discuss the unique features revealed in the ideas of Confucianism(儒家) with Western modern musical theories, ultimately aiming to reveal the basis of the existence of ambience(餘音), which is one of the unique discussions in the oriental music culture. In fact, the ambience(餘音) has always been inherent in the music and has been performed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As is well know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smology and the sound(音) in the Confucianism(儒家) is regarded as a tool for complementing moral roles and realistic human tensions complementarily. The theory of the generation of the sound(音) in a view of nature of the unity of heaven and man(天人合一) connects to the original purpose of the habit of human nature theory, referr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ne and note(聲音) and the human’s inherent mind(心) and shedding light on human nature. In here, it is worth noting that the notion of the remaining sound(遺音) which is metaphor for the hidden nature of the sound that remains separately is derived from such a process. The remaining sound(遺音) refers to the privacy of individuals indirectly. It contains a free will of personalities strongly acted in th at the source of the sound itself is defined as the sound that is originally triggered and resonated in the human mind. The ambience(餘音) is the unrestricted movement of the sound that is enjoyed and played properly and appropriately within one’s own privacy at this time. In addition, in the point of view of reception aesthetics, it has a cognitive function that combines subtle feelings in the subconscious inherent to each individual.
    Since the ambience(餘音) is still in an unclear state ontologically and epistemologically in the rationalism and the technical civilization, it has been an object that was easy to avoid being mentioned or to be excluded. However, we should study the identity of the ambience(餘音) implied in the ideas of Confucianism(儒家) that is very influential among Eastern traditional thinking w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