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 Case Study on the National Design Policy Projects for Cultural Spatial Regener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1.09
12P 미리보기
A Case Study on the National Design Policy Projects for Cultural Spatial Regeneration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6권 / 6호 / 95 ~ 106페이지
    · 저자명 : 황동호

    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method of 'culturally regenerating' the public spaces by means of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of citizens has taken root as a basic method for spatial regeneration through many studies and verification among the methods of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area of improvement in the 'implementation means' of policies associated with spatial regeneration design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legislations and policy projects from the standpoint of spatial regeneration design in order to analyze the 'implementation means' of domestic cultural spatial regeneration design policy. (Method) The 32 legislations, derived for cultural regeneration of the space, we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Based on that, the legislations associated with spatial contracts were added, leading to the classification into 8 categories which were then substituted into Lowi's policy types for analysis of current status. The methods, by which the State coerced the enforcement of policies, and the functionality of such coercion were classified by the type of policy. Using the policy types and coercion types as a framework for analysis, th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substitution into the 32 legislations of 8 categories which were extracted before. Through that, it could be understood how the legislations related to each cultural spatial regeneration design were working. (Result) The design support takes on significant importance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many legislations put primary focus on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t is important to bring cultural perspective to spatial planning. Among the interacting legislations, the most notable legislation in this study is the 'Public Design Promotion Act'. This legislation sets forth the Master Plan for Public Design Promotion, Public Design Commission, public design services, formation of dedicated departments, deployment of manpower, etc. The Enforcement Ordinance and the Enforcement Rules specify the details stipulated by the Act, such as the standards for participation in public design services, the requirements for reporting by companies specializing in public design, and the requirements for designation of dedicated organization. (Conclusion) Current status of policy projects, which have been implemented thus far, show that those projects focused only on the pilot projects for hardware spatial creation. Although the pilot projects for spatial creation can bring the performance that provides financial support and immediately quantifies the physical results, the pilot projects will bring only short-term one-time performance if the awareness of users remains unchanged. Those policies will become conducive to designing even more cultural and sustainable idle space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f the policies are developed and supported with a focus on cultivation and utilization of experts while forming the information service and interpersonal networks necessary for cultural utilization of idle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8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