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피에르 샤롱은 피론주의자인가, 아닌가? - 『지혜에 관하여』에 나타난 신아카데미적 회의주의의 영향을 중심으로 - (Is Pierre Charron a Pyrrhonist or Not? - Focused on the Influences of the New Academics in Of Wisdom -)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1.07
16P 미리보기
피에르 샤롱은 피론주의자인가, 아닌가? - 『지혜에 관하여』에 나타난 신아카데미적 회의주의의 영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105권 / 3호 / 107 ~ 122페이지
    · 저자명 : 박규철

    초록

    피에르 샤롱은 몽테뉴의 새로운 피론주의를 계승한 피론주의자다. 하지만 그는 피론주의자들에게 금기의 대상이었던 신아카데미 학파의 회의주의를 수용함으로써, 전통적인 피론주의자였던 섹스투스 엠피리쿠스와 새로운 피론주의자였던 몽테뉴와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형태의 회의주의를 선보였다. 그의 『지혜에 관하여』에는 신아카데미 학파의 다양한 흔적들이 존재하는데, 필자는 이것을 다음 3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로, P. 샤롱은 몽테뉴의 『수상록』에 흩어져 있던 도덕철학적 논의들 중 의미 있는 것들을 가려 뽑아 삶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지혜의 안내서’를 만들었는데, 그것이 바로 『지혜에 관하여』였다. 그의 이러한 작업의 배경에는 현세의 삶의 영역에 있어 실천의 문제를 강조하였던 신아카데미 학파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다.
    둘째로, P. 샤롱은 무지를 고백하였던 소크라테스를 최초의 회의주의자로 이해하였는데, 그의 이러한 이해의 배경에는 소크라테스를 이상적인 회의주의자의 모델로 간주하였던 신아카데미 학파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다. 그는 탐구보다 무지에 대한 고백을 더 강조함으로써, 무지에 대한 고백보다 탐구를 더 강조하였던 몽테뉴와는 다른 길을 갔다.
    셋째로, P. 샤롱은 ‘오류가능성을 지닌 현자’라는 개념을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그가 신아카데미 학파의 영향 하에 있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스토아 학파가 현자의 오류불가능성을 주장한 데 반해, 신아카데미 학파는 현자의 오류성, 즉 현자도 상황에 따라 오류를 저지를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그는 신아카데미 학파의 현자관을 수용함으로써, 근대 회의주의의 새로운 길을 개척하였다.
    결론적으로, P. 샤롱은 몽테뉴를 따라 신앙주의자이면서 회의주의자였다. 하지만 그는 몽테뉴의 신앙주의를 외재화시키고, 그의 회의주의를 신아카데미 학파의 회의주의와 융합시킴으로써, 몽테뉴와 차별화되는 그만의 새로운 회의주의를 선보였다. 그의 새로운 회의주의로 인하여, 16후반-17세기 초반 서구 회의주의의 지평은 더욱 더 다양해지고 풍부해질 수 있었다.

    영어초록

    Pierre Charron was a Pyrrhonist who succeeded Montaigne's new Pyrrhonism. However, by accommodating the skepticism of the New Academics, which was escaped by the Pyrrhonists. In doing so, he introduced a new form of skepticism that differentiated him from the traditional Pyrrhonists Sextus Empiricus and the new Pyrrhonist Montaigne. The influence of the New Academics in Of Wisdom can be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three aspects.
    Firstly, P. Charron wanted to create a guide book of wisdom that could shed light on for life by making meaningful ones from among the moral and philosophical discussions scattered in Montaigne's Essays. That was Of Wisdom. However, the major milestone in his work was the skepticism of the New Academics, which emphasized the problem of practice in the realm of human life.
    Second, P. Charron understood Socrates, who confessed his ignorance, as the first skeptic, and the background of his understanding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New Academics, which regarded Socrates as an ideal model of the skeptic. However, by emphasizing confession of ignorance rather than inquiry, he took a different path from Montaigne, who emphasized inquiry rather than confession of ignorance.
    Third, P. Charron emphasized the concept of 'the fallibility of the sage', which shows that he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New Academics. Unlike the Stoics, who insisted on the infallibility of the sage, the New Academics acknowledged that even the sage could make mistak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He pioneered a new path of modern skepticism by accepting the sage view of the New Academics.
    In conclusion, P. Charron, following Montaigne, was both a fideist and a skeptic. However, by externalizing Montaigne's fideism and fusing his skepticism with the skepticism of the New Academics, he showed his own new skepticism differentiated from Montaigne. Due to his new skepticism, the intellectual horizon of Western skepticism in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could become vastly expanded at fifferent ti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7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