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지구적 기억공간과 희생자의식 - 홀로코스트, 식민주의 제노사이드, 스탈린주의테러의 기억은 어떻게 만나는가? - (Entangled Memories of the Holocaust, Colonial Genocide and Stalinist Terror)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6.11
33P 미리보기
전지구적 기억공간과 희생자의식 - 홀로코스트, 식민주의 제노사이드, 스탈린주의테러의 기억은 어떻게 만나는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25권 / 385 ~ 417페이지
    · 저자명 : 임지현

    초록

    이 논문은 전지구적 기억 공간에서 합류하는 서로 다른 희생자의식이 빚어내는 기억의 경합과 갈등, 상호 참조와 접합 등의 복합적 양상을 비교사적이고 ‘얽혀있는 기억’이라는 관점에서 추적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내면적 지구화’의 관점에서 홀로코스트, 식민주의 제노사이드, 스탈린주의 테러의 기억들이 서로 얽혀 때로는 서로의 희생자의식을 같이 강화하는 시너지 효과 또는 서로가 서로를 배척하는 기억의 제로섬 게임으로 나타나는 기억의 정치를 역사적 맥락 속에서 고찰한다.
    세 가지 희생자의식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 전지구적 기억공간에서 기억의 탈민족화와 재민족화를 동시에 가속화하는 모순적 힘들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그 작동방식을 드러냄으로써, 서로 얽혀 있는 희생자의식의 기억들이 얼마나 복합적이며 양가적인가를 설명하고자 한다. 공간적으로는 전지구적 기억 공간을 대상으로 하되, 시간적으로는 이념적 금기 때문에 억눌렸던 스탈린주의 테러와 식민주의 제노사이드에 대한 기억들이 분출되고 홀로코스트에 대한 ‘역사가논쟁’이 희생자의식의 위계화 문제와 포스트 콜로니얼리즘의 문제의식과 만나는 탈냉전 이후 시기를 다룬다.
    또 인식론적으로는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 홀로코스트, 일본군 위안부, 난징대학살, 원폭투하, 연합군의 대공습, 식민주의적 잔학행위, 전쟁범죄, 아파르트하이드, 르완다의 인종학살, 구 유고슬라비아의 인종청소에 대한 기억들이 자신의 역사적 정당성을 옹호하기 위해 전지구적 기억공간에서 끊임없이 상호-참조되는 양상에 대한 비교 검토를 통해, 자신의 희생자의식에 더 진정한 역사적 정통성을 부여하기 위해 구사되는 다양한 서사 전략들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을 추동한 문제의식은 전후 전지구적 기억 공간을 지배하고 있는 ‘희생자의식 민족주의’를 기억연구, 비교사, 트랜스내셔널 메모리의 맥락에서 문제화함으로써, 민족의 경계를 넘어서는 21세기적 기억의 지형도가 어떻게 가능할지 가늠해보는 데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aces how the memories of victimhood have been entangled in the global memory space by investigating the mnemonic confluence of Holocaust, colonial genocide and Stalinist terror in the post-Cold War era. Three analytical dimensions of the spatial, temporal and epistemological compose the structure of the paper. Firstly, the spatial dimension posits the global memory space. It will show how the vernacular memory of the Stalinist terror flowed into the mnemonic confluence of the Holocaust and colonial atrocities to broaden the memory space from the bipolar world of the West and non-West into the global one including Eastern Europe. Secondly, the paper puts the temporal focus on the post-Cold War era by explicating the East European version of Historikerstreit and the postcolonial Vergangenheitsbewältigung triggered by the ‘Fall’. Oppressed memories of the Stalinist terror and colonial genocide, unchained from the ideological yoke of the Cold War, caused the memory avalanche to reshape the mnemoscape globally. Thirdly, the historical authenticity of competing victimhood will be analyzed on the epistemological level. As the memory contest and the recognition struggle for one’s own national cause intensified globally, historical authenticity became an ideological battlefield among competing nations. This essay aims to problematize ‘victimhood nationalism’ and other mnemonic nationalisms by explicating complexities and ambivalence of entangled memories of the victimhood which has been fluctuated between the de-nationalization and re-nationalization of the mem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구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