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70년대 외화수입과 외화검열체제의 변화: 행정은 어떻게 검열(자)을 생산하는가 (Changes in Foreign Film Imports and Censorship System in the 1960s-70s: How Administrative Procedures Produce Censorship)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0.06
37P 미리보기
1960-70년대 외화수입과 외화검열체제의 변화: 행정은 어떻게 검열(자)을 생산하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영화연구 / 84호 / 289 ~ 325페이지
    · 저자명 : 조준형

    초록

    최근 수 년 간 영화검열에 대한 적지 않은 연구가 제출되고 있지만, 검열체제 자체의 변화를 세밀하게 검토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며, 수입외화의 검열과 행 정체제에 대한 연구는 사실상 전무하다. 그러나 군사정권기 국가가 영화시장을 지배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강력한 힘을 가졌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 가의 영화 행정 체제의 변화양상을 살피는 작업은 비단 영화검열사나 정책사 뿐 아니라 한국영화사 연구를 위한 토대를 구축하는 일이라 하겠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1960-70년대 외화수입의 검열 과정에 있어서 다양한 주체와 행정절차의 역사적 변형과정을 살핀다. 이 글은 특히 외화수입추천 절차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상대적으로 안정되었던 본편 실사 검열(상영허가) 과는 달리, 외화수입추천 절차는 1960년대 후반 이후 1970년대 내내 혼란스러울 정도로 변화를 거듭하여 정리가 필요하다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절차의 복 잡화에 더해 주체의 복잡화 역시 동반된다. 이 글은 그 중에서도 일견 영화검열 과 관련이 없어 보이는 기관인 세관과 영화진흥공사(이하 영진공)가 외화의 검열 에 참여하게 되는 과정을 조명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이 글은 한국영상자료원에 보존된 주요한 외화검열서류 및 구술자료, 당시 신문기사 자료, 관련 법규 등을 주요 사료로 삼아 1) 1960-70 년대 외화수입절차와 검열행정 전반의 변화, 2) 수입예정 외국영화사전심사제도 의 변화, 3) 세관과 영진공이 검열자로 참여하는 과정과 배경에 초점을 맞추어 별 도로 기술하였다. 이 글을 통해 그간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던 외화수입의 절차와 검열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나아가 당대 영화정책의 역사적 특수성을 이 해할 수 있는 단초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So far,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on film censorship, but only a small number of studies have examined changes in the censorship system in detail. In particular, the censorship and administrative system of imported foreign films is all the more so. During the military regime, the state had such a powerful power that it would not be too much to say that it dominated the movie market. In this regard,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nation’s film administration system is not only a narrow topic such as film censors, but also a basic task in the study of Korean film history. In this sense,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various subjects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the process of censoring foreign films in the 1960s and 1970s. Among the censorship processes of foreign films, a particular part that needs to be reviewed is the change in the procedures for recommending foreign films’ imports. Unlike the relatively stable final screening process for films, the import recommendation process has undergone a chaotic change since the late 1960s.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the process of customs and the Korean Motion Picture Promotion Corporation(KMPPC) participating in the censorship process of foreign films. The two organizations’ cases are not just unique cases, but also important clues that can explain the specificity of foreign film censorship and even film censorship of the time.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mainly analyzed important foreign film censorship documents and oral history materials preserved by the Korean Film Archive, newspaper articles of the time,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rough this, I separately described 1) the process of importing foreign films and the overall change in censorship administration in the 1960s and 1970s; 2) the process of changing the pre-examination system for foreign films scheduled to be imported; 3) the process of customs and KMPPC’s participation as censors. Through this article, I hope to enhance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procedures for foreign film imports and the censorship process of foreign films, as well as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specificity of film policies during the military reg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4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