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덕의 본성에 관한 형이상학적 고찰 -일원론적 도덕 형이상학의 정립은 가능한가?- (A Metaphysical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Morality —Monism or Dualism?—)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0.11
36P 미리보기
도덕의 본성에 관한 형이상학적 고찰 -일원론적 도덕 형이상학의 정립은 가능한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 / 38호 / 99 ~ 134페이지
    · 저자명 : 정원규

    초록

    현대 윤리학의 인식론적, 언어철학적 흐름은 도덕 언어가 그 의미를 확정할 수 없다거나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춤으로서 메타윤리학적 상대주의를 발전시키는 데 일조하였다. 최근에 이러한 상대주의에 반발하는 유력한 입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도덕 실재론은 이러한 인식론적, 언어철학적 흐름에 맞서 도덕철학에서 형이상학을 다시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그 핵심 개념인 도덕적 사실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지위를 분명히 해명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여전히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자연적 사실과 구분되는 도덕적 사실을 상정하는 도덕 실재론의 형이상학적 이원성에서 비롯되는바, 이 글에서는 이러한 맥락에서 윤리적 비상대주의를 고수하면서도 도덕 실재론에서와 같은 존재론적, 인식론적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도덕 형이상학적 일원론의 구성이 가능한가를 모색하고자 한다. 이는 도덕적 사실과 자연적 사실의 이원성을 전제하지 않으면서도 도덕의 형이상학적 근거를 해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도덕 실재론에서와는 달리 여기에서는 자연적 사실과 도덕적 사실처럼 둘로 구분되지 않는 하나의 사실이 규범성을 어떻게 정초하는지를 해명하는 것이 주요한 과제가 된다. 그런데 현재 규범윤리학계는 단일한 규범성을 전제하는 입장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기보다는 덕 이론,결과론, 의무론 등이 각각 경합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필자는 이들 각 이론과 잘 연결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하이데거, 스피노자, 칸트의 형이상학을 각각 이들 이론과 연결시켜 도덕 형이상학적 일원론의 정초 가능성을 폭넓게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Epistemological and linguistic trends in modern philosophy helped metaethics to flourish in the 20th century. Many metaethical theories took note of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a moral assertion could not be exactly identified, and, as the result of this, relativism came to thrive in ethics. Recently, many metaethicians have once again grown interested in moral realism, which is metaethically reshaped non- relativism. Moral realists argue that the truth of moral assertions can be judged by moral facts. Moral realism revives moral metaphysics against those epistemological and linguistic trends, but I believe that it does not elucidate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status of a so-called "moral fact." This is, I believe, moral realism has the stance of metaphysical dualism. Therefore, I try to suggest other forms of non-relativism: three versions of moral-metaphysical monism, in this article. This is because only monism can escape from these kinds of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problems. However, moral-metaphysical monism may reveal a different kind of problem: How we can justify the validity of moral assertions from one type of fact, which is neither natural nor moral? I depend on three philosophers: M. Heidegger, B. Spinoza, and I. Kant to answer this question. They may be connected respectively with virtue ethics, consequentialism, and deontology, and this shows that at least three versions of moral-metaphysical monism can be propo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