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간은 과연 현세에서 행복할 수 있는가? - 철학자들의 ‘번민’(angustia)과토마스 아퀴나스의 답변 (Can Human Beings be Happy in this Life?: The ‘Anguish’ of Philosophers and Thomas Aquinas’ Answer)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6.03
21P 미리보기
인간은 과연 현세에서 행복할 수 있는가? - 철학자들의 ‘번민’(angustia)과토마스 아퀴나스의 답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장신논단 / 48권 / 1호 / 37 ~ 57페이지
    · 저자명 : 손은실

    초록

    본고의 목표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행복론을 연구하여 현대 한국사회에서 큰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행복에 대한 담론의 지평을 확장하고 그 깊이를 심화시키는 데 일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는 토마스의 행복론을 당대에 유행하던 아우구스티누스의 행복론과 아리스토텔레스와 그의 주석가들의 행복론과 비교하고, 토마스가 이 두 행복론을 어떤 방식으로 종합하는지를 밝힌다. 그는 한편으로는 히포의 주교를 따라 인간은 현세에서 완전한 행복에 도달할 수 없음을 논증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현세에서 행복을 추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복개념을‘불완전한 행복’이라 명명하며 수용한다. 이와 같이 토마스는 철학적 행복개념과그리스도교의 행복이해를 포괄함으로써 자연이성을 통해 탐구가능한 인간의 목적과 신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초자연적 차원의 목적에 대한 논의를 함께 전개한다.
    하지만 그는 인간의 궁극적 갈망과 목적에 대한 철학의 탐구는 결국 아포리아에 부딪힘을 논증하고 현세에서 행복을 추구했던 철학자들은 이로 인해 ‘번민’ 을 겪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는 이 번민에서 해방될 수 있는 길은 우리가 미래의 삶에서 하나님을 볼 것임을 지지하는 데 있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이성과 신앙을 통한 행복이해를 종합하면서, 이성적 탐구의 한계를밝히고 그것을 초월하는 신앙을 통한 행복의 길이 무엇인지 제시하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행복론의 핵심적인 내용을 논증적인 방식으로 소개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현대 한국사회의 통속적인 행복이해와 계몽주의 시대 이래 이성적 차원에매몰된 근현대철학의 행복개념에서 간과되어온 인간의 궁극적 목적의 영적이고초자연적 차원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study Thomas Aquinas’ doctrine of happiness. To this end, I contrast it with Augustine’s and Aristotle’s, both of which extensively discussed at the University of Paris in the time of Aquinas. On the one hand, Aquinas, following Augustine, argues that no human being can reach the complete happiness in this life. On the other hand, he does not unconditionally reject Aristotle’s concept of happiness, which recognizes the happiness in this life. Aquinas considers Aristotle’s concept of happiness as incomplete. Thus Aquinas’ understanding of happiness includes both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happiness and the Christian concept of happiness. By synthesizing the two concepts, he simultaneously covers the supernatural dimension and the natural dimension of human end. But he says that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happiness finally reaches Aporia, and describes that the philosophers who sought happiness in this life could not avoid the suffering of the “anguish.” And he argues that human beings can be released from this anguish by supporting the fact that they will be able to see God after death. The complete happiness of human beings, says Aquinas, consists in the vision of God in the patria.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Aquinas’ doctrine of happiness which consists in the synthesis of investigations of happiness by reason and by faith. In his attempt, Aquinas reveals the limits of rational inquiry of happiness and suggests the ‘through-faith’ way, which leads to the complete happiness beyond the human intelligence. This study on Aquinas’ doctrine of happiness indicates that there are some spiritual and supernatural dimensions in the human pursuit of happiness, which have been forgotten since the Age of Enlighte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장신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