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롤즈의 해석은 칸트 윤리학을 왜곡하는가: 롤즈의 『도덕철학사강의』를 중심으로 (Does Rawls’s Interpretation of Kant Deform Kant’s Ethics?: Focusing on Rawls’s Lectures on the History of Moral Philosoph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7.09
33P 미리보기
롤즈의 해석은 칸트 윤리학을 왜곡하는가: 롤즈의 『도덕철학사강의』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18호 / 143 ~ 175페이지
    · 저자명 : 김은희

    초록

    이 글은 롤즈의 강의록인 『도덕철학사강의』를 중심으로, 롤즈의 칸트 해석이 칸트를 왜곡하는지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작업을 함에 있어나는 롤즈의 정의론이 칸트를 근본적으로 왜곡한다는 주요 문제제기들에 맞서 『도덕철학사강의』에 근거해 답을 구성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리고 이 글에서 다뤄진 그 문제에 있어서만큼은 롤즈는 칸트의 윤리학을 왜곡하지 않음을 보여목표를 이루고자 한다. 이 글에서 다루는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초적 입장과 같은 롤즈의 장치들은 경험적 실천이성관에 의존한다는 비판이다. 이에 대해 나는 원초적 입장 당사자들의 이익 추구적 성격은 칸트의 정언명령을 절차적으로 재현한 구성의 전체 성격에 비추어 해석되어야 한다고 응수한다. 이와 관련하여 “사회적 기본재”에 대한 원초적 입장 당사자들의 관심은반칸트적이라는 반론도 제기된다. 이 개념의 원천으로 보이는 “진정한 인간적필요들”은 칸트의 텍스트에 있지만 롤즈가 사용하려는 취지와 매우 다르다는점에서 그 개념의 사용은 칸트의 어법을 왜곡할 수 있다고 인정된다. 하지만 그역할을 할 새로운 개념을 도입해서 칸트의 실천이성관 안에 자리매김할 수 있다면, 롤즈가 정의론에서 사용한 “사회적 기본재” 개념은 롤즈가 칸트의 실천이성관을 왜곡하고 있다는 비판의 증거로 쓰이지 않을 것이다.
    둘째, 칸트 윤리학은 도덕법칙이란 토대를 갖지만 롤즈는 구성주의적 해석을 통해 그것을 부정한다는 비판이 있다. 하지만 롤즈는 모든 것이 구성된다는 의미의 구성주의를 제시한 것이 아님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이 외에도 롤즈의 정의론에서의 “반성적 평형” 방법론이 칸트적이지 않다는 비판이 있다. 나는 이 “반성적 평형”은 롤즈의 정의론에 대한 공격으로서 적절할지도 모르겠지만 롤즈의칸트 해석에 대한 공격으로는 부적절함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칸트의 윤리학에 포함된 신, 영혼 불멸성과 같은 형이상학적 요소들에 대한 롤즈의 입장을 묻는 문제이다. 롤즈는 도덕적 구성주의 내에 그것이해명될 수 있는지에 따라 이 요소들의 처리를 결정한다. 롤즈는 이 요소들에 대한 신앙 대신, 현실에서 가능한 목적의 나라의 이념을 그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대안을 제시한다. 그것이 칸트의 도덕적 구성주의에 더욱 적합하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Many critics have cast doubt on Rawls’s Kant. First, some criticizethat Rawls’s theory of justice which he calls a kantian one invokes, infact, empirical conception of practical reason in respect to the partiesin the original position. Against this critique, I argue that the parties’nature must be interpreted in light of the whole construction as aprocedural representation of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In relation tothis issue, some can criticize that the parties’ interest in “primarysocial goods” is anti-kantian. The conceptual root of “primary socialgoods” seems to be Kant’s concept of “true human needs”, and Iacknowledge that Rawls’s usage of the concept of “true human needs”tends to distort the meaning of Kant’s original usage of that. I argue,nevertheless, if a new concept which has no burden of interpretingKant’ texts can be introduced as the role that “true human needs”plays, and at the same time that new concept can cohere into Kant’swhole spirit, the concept of “primary social goods” cannot support thecritique that Rawls deforms Kant’s conception of practical reason.
    Second, some critics claim that Kant’s ethics includes the basis likemoral laws, but Rawls seems to deny that basis of ethical theory byaccepting a moral constructivism. I argue that such a claim beginsfrom misunderstanding of Rawls’s moral constructivism. Hisconstructivism accepts a basis such as an idea of person as free andequal, reasonable and rational being. Besides this, there are many critiques of “reflective equilibrium”. But such critiques cannot pose achallenge to Rawls’s interpretation of Kant itself, although it might bea challenge to Rawls’s theory of justice. For Rawls has never usedthat idea in interpreting Kant’s ethics itself.
    Finally, some might wonder Rawls’s position as to Kant’smetaphysical factors such as god’s presence and spirit’s immortality. Ishow that Rawls can dispose of them in light of their places in moralconstructivism. He replaces the reasonable faith in them by reasonablefaith in the realm of ends, because only the latter fits Kant’s moralconstructivism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