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1세기 서방국가들과 이슬람 문명권의 갈등은 종교갈등인가? (Is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 and the Islamic Civilization in the 21st Century a Religious Conflict?)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5.02
46P 미리보기
21세기 서방국가들과 이슬람 문명권의 갈등은 종교갈등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65호 / 77 ~ 122페이지
    · 저자명 : 김회권

    초록

    이 논문은 사무엘 헌팅턴의 문명충돌론을 떠받치는 고등종교들의 폭력적 충돌과 그 작동 메카니즘을 연구한다. 특히 서구문명(기독교문명권국가들)과 이슬람 문명을 대표하는 세력(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의 갈등을다루되, 그것이 어느 정도로 종교적인 동기에 의해 추동되는지를 다룬다.
    여기서 “종교갈등”이라고 함은 “종교가 주도적으로 촉발시킨 갈등이거나다른 복합적인 요인들이 한데 합해져서 벌어진 갈등일지라도 종교가 의미깊게 이용되는 갈등”을 가리킨다. 종교갈등은 종교 자체의 내재적 지향과가치 때문에 초래되는 갈등이기도 하고, 종교에 호소해야만 타자배척의 동력을 결집시키기에 유리한 갈등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이 글의 중심논지는 제도화된 종교들이 폭력을 통해 자신들의 신앙을표현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21세기가 유독 종교로 대표되는 문명충돌의 세기는 아니라는 것이다. 그 논지를 뒷받침하는 논거는 세 가지이다. 첫째, 종교는 어느 세기이건 간에 민족적, 국가적, 부족간의 갈등을 대변하기도하고 그 갈등에 동원되기도 했다. 21세기만이 유독 종교적 이유 때문에 문명 충돌이 일어나는 세기는 아니다. 특정종교가 민족정체성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종교의 이름으로 외부문명을 배척하는 현상은 이전 세기들에서도나타났다. 종교 자체가 타자배척적인 정신성을 보양하기 때문이다(십자군전쟁,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 1947년 인파전쟁). 둘째, 거시적으로 보면 헌팅턴이 주로 염두에 두고 있는 서구 대(對) 이슬람 문명국가들, 혹은테러단체의 갈등은 문명충돌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깊이 들여다보면 종교갈등 이상의 차원이 개재되어 있다. 이슬람 문명국가들의 입장에서 보면서방 기독교 문명국가들에 대한 이슬람의 저항은 식민해방투쟁의 연장이다. 21세기 종교갈등은 19-20세기 서구문명이 이슬람 문명권에 가한 공격에 대한 늦게 착수된 이슬람문명의 반격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서구와이슬람 문명 갈등은 시차가 있는 갈등이며, 전자의 도전과 후자의 응전으로 진행되고 있다. 셋째, 서구와 이슬람 근본주의 테러단체들의 갈등은 층위가 다른 당사자들 사이에 벌어지는 비대칭적인 갈등이다. 공세적인 서방국가들은 정치적 이념들(자유, 세계평화, 인권)에 호소하여 이슬람 문명권침략을 정당화하고, 다소 수세적인 이슬람 준(準)국가단체들은 그들의 “이슬람” 종교에 호소해 투쟁한다.
    이 논문의 함의는, 미국-서구 대(對) 이슬람 문명 대결에서 “종교”만 주목하지 말고 그 종교적 언어나 수사가 가리키는 구체적인 삶의 현장을 주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종교의 차이는 쉽게 해결할 수 없을지 몰라도 존엄이파괴된 인간들이 내지르는 아우성은 종교의 차이를 넘어 인간의 이성과 양심에 호소하는 보편언어이기 때문이다. 이웃의 고통에 대한 공감적 이해로모든 종교인들은 종교 차이를 극복하여 하나가 될 수 있다. 종교는 삶의 실재, 특히 인간존엄이 파괴된 인간의 참상을 더 진정성있게 공감하고 그것의해결에 이바지하도록 우리 양심을 경각시킬 때 그 빛을 발한다.

    영어초록

    The present essay examines the violent clashes of highly civilized religions and their operational mechanisms that are said to underpin Samuel P. Huntington’s theory of the clash of civilizations, specifically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ern civilization (Christian civilized nations) and the Islamic civilization (Islamic fundamentalist forces) with focus on the extent to which those clashes of the civilizations are religiously motivated. The term “religious conflict” here refers to “any conflict in which religion is used in a meaningful way, whether it is primarily motivated by religion or a combination of other factors.” Religious conflicts can be caused by the inherent orientations and values of religion itself, or they can be favored by appeals of a certain religious group to its religion to fulfill its own political goal.
    The central thesis of this article is that the 21st century is not a century of civilizational clashes, although it is true that some institutionalized religions use violence to declare their beliefs. Three arguments support this thesis. First, religion has been used to represent and perform ethnic, national, and tribal conflicts in every century. The 21st century is not the only century in which civilizations have clashed with each other for religious reasons. Previous centuries have also seen the rejection of “alien” civilizations in the name of religion, especially when religion constitutes a national identity. This is because religion itself fosters a xenophobic mentality (Crusades, the 8 year long Iran-Iraq War in the 1980s, the 1947 India-Pakistan War). Secondly, at a macro level, the conflicts that Huntington is primarily concerned with - Western versus Islamic civilizations, or terrorist groups - can be seen as clashes of civilizations. However, a deeper look reveals that there is more to this conflict than just religion. The 21st century religious conflict is a belated Islamic counterattack to the 19-20th century Western assaults on the Islamic civilization. The conflict between Western and Islamic civilizations is a staggered conflict, with the former challenging the latter and the latter responding in ki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slamic civilization, Islamic resistance to the Western Christian countries and civilization is seen to be an extension of the struggle for decolonization. Thirdly,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 and the Islamic fundamentalist terrorist organizations is an asymmetrical conflict between parties of different levels. The more offensive Western states justify their invasions of Islamic civilizations by appealing to their political ideologies such as freedom, global peace, and human rights, while the more defensive Islamic quasi(sub)-state groups appeal to their “Islamic” religion.
    The implication of this paper is that in the U.S.A.-Western civilization versus the Islamic civilization confrontation, we should not look only at their “religion” but also at the concrete life situations to which their religious language and rhetoric refers. Religious differences may not be easily resolved, but the cry of human beings whose dignity has been destroyed is a universal language that appeals to human reason and conscience beyond religious differences. Empathetic understanding of the sufferings of our neighbors can bring people of all faiths together across religious differences. Religion shines when it alerts our conscience to empathize more authentically with the realities of life, especially the devastation of human dignity, and to contribute to its resolu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와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