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비교사들은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서사를 어떻게 읽을까? (How do pre-service teachers read the narrative of the Korean War in history textbook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0.03
34P 미리보기
예비교사들은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서사를 어떻게 읽을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교육연구 / 36호 / 241 ~ 274페이지
    · 저자명 : 방지원

    초록

    역사교과서의 서술 관점과 서사를 식별하고 분석해내는 능력은 역사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서사를 분석하고, 자신의 한국전쟁 인식 및 인식 형성 과정을 성찰하는 활동 사례를 다뤘다. 예비교사들은 다섯 종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서술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활동으로부터, 전형적 서사와 대항 서사를 인식하고, 각각에 대한 자기 견해를 표명하는 활동 과정을 거쳤다. 이 때 자신의 한국전쟁 인식 형성에 작용한 요인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자기반성을 함께 진행했다. [수업일기] 과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예비교사들의 자기반성과 성장의 지점은 교사교육에 매우 시사적이다. 첫째, 예비교사 다수는 역사교과서 서술의 차이점을 분석할 때 서술 관점 등을 그 기준으로 충분히 활용하지 못했다. 상대적으로 낯선 대항 서사에 대한 역사지식이 추가적으로 주어졌을 때 비로소 서술 관점의 차이에 내포된 교육적 의미를 좀 더 적극적으로 탐색했다. 둘째, 감성적인 역사서술과 객관적인 역사서술을 서로 대립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경향을 보였다. 역사교과서의 서술이 객관적이고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믿음이 강했으며, 감성적인 서술이 이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기도 했다. 셋째, 자신들이 과거 역사교육을 통해 습득한 전형적 서사 위주의 한국전쟁 인식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유연한 이해와 사유의 확장을 제약한 측면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교사의 폭넓은 역사 이해가 관점과 해석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역사수업의 필수 요건임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예비교사들의 활동 과정과 결과를 통해 역사교육에서 다원적 관점의 중요성, 다원적 관점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라는 과제의 시급성이 다시 확인되었다. 예비교사들은 교과서의 관점과 서사가 응집력 있는 사실 전달을 통해 과거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 이상의 힘을 발휘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교육과정 설계자로서 교과서를 다각도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

    영어초록

    The ability to identify and analyze narratives of history textbooks is very important in the curriculum expertise of history teachers.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analysis of the history textbook ‘Korean War’ narrative performed by the preliminary teachers and the activities to reflect on their own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ypical narrative’ and ‘controversial narrative’ and expressed their own views on each of them from the activities that analyze commonality and differences in the Korean War narratives of the five kinds of history textbooks. At this time, it was conducted with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to critically review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formation of his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The point of reflection and growth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task of [class diary] is very suggestive in teacher education. First, many of the preliminary teachers did not fully utilize the narrative viewpoint as a standard when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textbooks. When the historical knowledge of the relatively unfamiliar narrative was additionally given, the educational meaning implied by the differences in narrative viewpoints was more actively explored. Second,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find emotional history and objective history narratives to be opposed to each other.,There was a strong belief that the description of history textbooks should be objective and neutral, and emotional descriptions were also seen as hindering it.,Third,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which is based on typical narratives acquired through history education, has limited the flexibl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society and the expansion of thought., He also said that teachers' broad understanding of history is a prerequisite for history classes that guarantee diversity in perspective and interpretation.,Through the activities and results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stic perspective and the urgency of the task of how to deal with the pluralistic perspective were confirmed again., Pre-service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perspective of textbooks and narratives exert more power than to understand the past through cohesive fact delivery, and as curriculum designers, they should develop the ability to utilize textbooks from various ang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