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평융합-불설(buddha vacana)은 해석의 지평에서 현존한다 (Fusion of Horizon - Buddhavacana Reveals Itself on the Horizon of Hermeneutics)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8.09
45P 미리보기
지평융합-불설(buddha vacana)은 해석의 지평에서 현존한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5호 / 3 ~ 47페이지
    · 저자명 : 이규완

    초록

    이 논문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간에 간과된 부분이나 보다 진전된 연구를 요구하는 부분에 대한 탐색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먼저 논문에서는 서구학계와 일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내용과 의의에 대해 개괄하면서 두 가지 상이한 해석학적 접근이 수렴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불교의 전통이 살아있는 한국과 일본 등에서의 문제의식은 서구학계의 관심과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으며, 그로 인해 연구방법과 내용에 차이를 노정하였다. 그러나 서로 상이한 접근은 불설(佛說)에 대한 보다 다면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해석지평에서 합류하게 된다.
    불설의 판정기준으로 라모트(Lamotte)와 후학들의 ‘4대교법’에 대한 연구가 있다. 비교적 초기의 ‘4대교법’과 함께, 대승적인 관점이 두드러진 ‘4의(依)’에 대해서도 충분한 일차적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4대교법’의 정형구와 수사적 기법의 변주를 통해 불설에 대한 해석이 어떻게 변화되어 갔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후 ‘4의’의 관점을 예고하는 ‘4대교법’의 결론은 ‘이치(理致, yukti)에 따른 해석’으로 귀결된다. 이는 대승일반을 비롯하여 원효의 해석학적 관점과도 일치한다.
    논문은 이 ‘이치에 다른 해석’이 함축하는 해석학적 함의를 ‘지평융합’이라는 개념을 통해 확장하고자 한다. 가다머의 표현을 빌어, 영향사 속에 있으며, 전통에서의 해석적 역사를 체화하고 있는 경전은 해석자의 지평에서 지평융합을 촉발한다. 이 사건을 통해 전승은 새로운 의미를 지닐 뿐만 아니라, 새로운 경전이 창출될 수도 있다.

    영어초록

    The debates on buddhavacana in the Korean Buddhist schools have been a very exceptional case in that the open debates on the press attracted public attention to the scholastic subject crucial to the Buddhist studies, consequently increasing th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s well as betraying the scholastic accomplishment of the Korean Buddhist studies. The paper stands on the shoulder of the participants of the debates and examines, if any, details unnoticed or subjects required for further advancement afterwards.
    First of all, this paper reviews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studies in Japan and the West in the 20th century, comparing the two distinct approaches. The East Asian perspective should have been different from the West since Buddhism is a live tradition in the East whereas it has been a subject of intellectual concern or a subject investigated by the eyes of Judeo-Christian tradition. The differences on the interests and methods of the two traditions, in fact, mutually supported each other to converge into a new hermeneutical horizon to make deeper and more diverse understanding of the buddhavacana.
    The most typical and outstanding research on this topic is the work of Lamotte on the 4 mahāpadeśa, the critical standards for buddhavacana. With accompanying publications on mahāpadeśa and the 4 pratiśaraṇa, I presume, fundamental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well enough. So, in this paper, I rather focus on the variations made by the application of rhetorical devices to the formula of the 4 mahāpadeśa. From the observation, I reveal how the discussion on the buddhavacana had reached the final standard, the hermeneutics by reason, yukti, which continued in the blood of Wonhyo as well as other Mahāyāna Buddhist canonical interpretors.
    This paper eventually explores a possibility to extend the hermeneutics by reason to the concept of ‘the fusion of horizon.’ According to Gadamer, every canonical literature is formed and lived through ‘the effectual history’ and the canon in turn comes to be fusing into the horizon of the readers of the canonical literatures or the creators of the new scriptures. Through the events of ‘the fusion of horizon,’ the buddhavacana can not just be newly interpreted but also be created in the voice of contemporary aud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