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긴자[銀座]의 추억: 식민지 문학과 시장 (The Memories of Ginza: Colonial literature and Marke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09.10
36P 미리보기
긴자[銀座]의 추억: 식민지 문학과 시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39호 / 309 ~ 344페이지
    · 저자명 : 이경훈

    초록

    식민지 경성의 풍속인 ‘혼부라’는 근대 소비 사회를 배경으로 한다. 이는 민족 문제로만은 설명될 수 없는 식민지 문학의 복잡성을 암시한다. ‘혼부라’는 동경 긴자의 ‘긴부라’에서 기원한다. 수많은 문학 작품에 묘사되듯이, 긴자는 제국 시민들의 거리였을 뿐 아니라 식민지인들의 거리이기도 했다. 혼마치는 긴자를 수입했으며 ‘혼부라’로 ‘긴부라’를 흉내냈다. 식민지 사회는 자본주의 세계 질서 속에 일본의 한 지방 시장으로서 미끄러져 들어갔다.
    따라서 ‘혼부라’와 ‘긴부라’는 한국 근대문학과 관련된 일본의 의미를 생생하고 폭 넓게 통찰하게 한다. 일본은 국가였을 뿐 아니라 학교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시장이었다. 그것은 식민지인들을 근대 소비자로 호출하고 훈육했다. 시장은 식민지를 주권성과 식민성의 문제로부터 벗어나게 했다. 이는 “김치는 음식 중에 내셔널 스피리트(민족정신)”라고 하며 “우리의 입”을 탄생시킨 이광수의 규정과는 대립한다.
    그러나 이미 식민지인들은 아지노모토라는 시장의 맛에 길들여졌다. 그리고 이 화학 조미료에게 김치는 조선의 민족음식도 일본의 지방음식도 아니다. 그것은 제국과 식민지를 가리지 않고 감각되는 시장의 맛을 선포하고 산포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일본 조미료는 조선 민족은 물론 일본 국가와도 대립한다. 따라서 통제 경제를 시행하는 국가는 아지노모토를 공급하는 시장과 대립한다. 전선은 식민지 민족과 제국 사이보다는 시장과 시장 아닌 것 사이에 또는 소비자와 국민 사이에 그어졌다.
    그런데 이와 관련해 강조되어야 할 사실은 시장을 공격하는 것이야말로 이른바 ‘친일’과 ‘협력’의 강력한 논리였다는 점이다. 일본 제국으로의 귀환은 민족을 포기하는 방식으로 실천되기보다는 민족과 국가를 포괄하는 공동체에 시장을 대립시킴으로써 이루어졌다. ‘서양’과 동일화된 자유주의적인 시장에서 벗어나 공동체적인 ‘동양’으로 나아감으로써 조선 민족은 자본주의뿐 아니라 민족주의에서도 해방되었다. 이광수에게 이는 민족의 전통을 회복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는 민족주의를 포기했지만 여전히 민족적이었다. 한편 시장과 “아메리카의 바보들”을 혐오하고 조롱하는 한설야의 사회주의적 태도 역시 사회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이나 계급적인 실천은 될 수 없었다. 국가야말로 시장을 억누르고 있었으며, 미국과 싸우고 있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modern consumption society backgrounds the ‘Honbura’ as a customs of colonial Seoul(Keizo). ‘Honbura’ suggests the complex aspects of colonial literature which can not be explained fully by the issues of nation. The ‘Honbura’ has its origin from the ‘Ginbura’ of Ginza in Tokyo. As like described in many colonial literature, Ginza was not only the street of empire`s citizen but also the street of colonials. Honmachi imported Ginza, and mimicked the ‘Ginbura’ by the ‘Honbura’. In short, colonial society slipped into the capitalist systems of world as a local market of Japan.
    Therefore, the ‘Honbura’ and ‘Ginbura’ give some points of view by which we can examine the meaning of Japan on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Japan was not only a state but also a great school. But above all, it was a market. It called and disciplined colonials as modern consumers. By doing so, market would set them free from the problems of sovereignty and coloniality. It is opposed to the Lee Kwang-su`s regulation of “our taste” with saying that “Kimchi is the national spirit of foods”.
    Nevertheless, colonials had been accustomed to the ‘Ajinomoto’, the taste of market already. And to this chemical flavor, kimchi is neither the national food of Korea nor the local food of Japan. ‘Ajinomoto’ declared and scattered the taste of market that could be tasted equally in empire and colony. In that sense, this Japanese flavor standed against the state of Japan as well as the colonial nation of Korea. Therefore, the market was profoundly opposed to the state which enforced the economy control. The front was established not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y, but between the market and non-market or consumers and nations.
    And the important issue we have to emphasize is the fact that the market-bashing was the very thing that functioned as a powerful logic of so called pro-Japanese cooperation. Returning to the Japanese empire was executed not by abandoning colonial nation, but by confronting the market with the community which included colonial nation as well as state. With getting out of the liberal market identified with the ‘West’ and approaching to the communal ‘Great East’, colonial nation of Korea could be liberated from not only the capitalism but also the nationalism. To Lee Kwang-su, it was evaluated as a resurrection of Korean tradition. He abandoned the nationalism, but he remains national as usual. Meanwhile, socialistic attitude of Han Seol-ya who hated the market and mocked “the fools of America” was also impossible to be a serious criticism to the society and praxis of class. For the very empire was suppressing the market, and fighting against the Americ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