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용』의 ‘參贊化育’과 교황 회칙 『찬미받으소서(Laudato Si')』의 비교적 고찰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Zhongyong’s Vision of the Transformative Power of Human Participation in the Generative Processes of Heaven and Earth and the Papal Encyclical Laudato Si’)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9.02
30P 미리보기
『중용』의 ‘參贊化育’과 교황 회칙 『찬미받으소서(Laudato Si')』의 비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논총 / 40권 / 1호 / 129 ~ 158페이지
    · 저자명 : 김한상

    초록

    본 논문은 중용 의 사유 체계를 생태 윤리의 관점에서 살피고 이를 교황의회칙 찬미받으소서(Laudato Si‘) 와 비교한다. 중용 의 ‘성기․성물(成己成 物)’과 ‘참찬화육(參贊化育)’ 등의 관념에는 인간과 자연의 본성을 ‘생명력’, 즉 ‘인(仁)’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보는 입장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중용 에서는 인간 뿐 아니라 자연계 안의 모든 생명을 가진 존재가 동등한 천지의 자식으로 간주된다.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서로 착취를 일삼거나 적대적으로 대립하기보다 ‘우주적 공동체’ 안에서 각기 고유한 지위와 역할을 지니고 각자의 본분을 성실히 수행하면서 공동체의 번영과 발전을 위해 이바지해야 한다고 본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회칙 찬미받으소서(Laudato Si‘) 는 생명들의 ‘공동의 집’ 인 이 지구에 닥친 위기에 대해 성찰하고 영적(靈的)인 반성을 통해 이를 타개해 나갈 것을 촉구한다. 이 회칙은 근대 이래로 인간이 자연을 무분별하게 약탈해온 점을 비판하면서 반성을 촉구한다. 나아가 인간 본성에는 자유의지 뿐 아니라 피조물로서의 본성 또한 있음을 자각할 것을 강조하며 ‘우주적 상호연관’ 의 실상을 설파한다. 이는 중용 의 생태학적 비전과 상통한다. 중용 과 회칙 찬미받으소서(Laudato Si‘) 는 생태 윤리의 두 입장인 ‘인간중심주의’와 ‘생태중심주의’의 극단적인 대립을 넘어서는 새로운 입장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intend to reconstruct the thought system of the Zhongyong from the viewpoint of ecological ethics. Various concepts in early Confucianism, such as that of “giving rise to life without ceasing” in the Yijing, or that of “forming the self and forming others” and “transforming heaven and earth through participating and assisting in their generative processes” found in the Zhongyong reflect the view of human and natural nature as connected to the fostering of life, or in Confucian parlance, ren or benevolence. The goal of humans is to realize their true nature of 'benevolence', and 'benevolence' is realized through the process of formation of the self and the other, which result in the salvation not only of human lives but also of all other beings in the ecosphere. Even if Confucian ethics does not specifically address modern conceptions of ecological or environmental issues, its reinterpretation in the context of contemporary ecological crisis has significance in the present. The Zhongyong and the Yijing take recourse to the model of family community when seeking to account for the natural world. In this communal model, not only humans but also all life in the natural world are regarded as equal progenies of heaven. According to this vision, rather than exploiting each other or living in confrontation, each member of the community should have its own status and role in the cosmic family community and be faithful in their respective roles to contribute to the prosperity and development of the entire community.
    These reflections have recently taken place in many Christian church communities, including the Catholic Church. Pope Francis’ encyclical Laudato Si’, which was promulgated on June 18, 2015, reviews the crisis facing modern earth that affects all living creatures including humans. The encyclical points out that humans in modern society are indiscriminately plundering nature, forgetting that they are a part of an intrinsic cycle in the cosmic community, and calls for the resolution of the crisis through spiritual reflection, based on respect for the mother earth and caring for all beings such as shown by St. Francis of Assisi. The encyclical stresses the need for fundamental change in human behavior, and urges us to realize that human nature is characterized not only by freedom but also by forming part and parcel of the universe as one of its generative components in a cosmic correlation. This is yet another philosophical and religious expression of the ecological vision contained in the Zhongyong, albeit from a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