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르크 샤갈 작품 감상이 지적장애 성인의 조형 표현에 미친 영향 연구 -융의 분석심리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tellectually Retarded Adult’s Art Expression by the Work of Chagall -Based on Jung’s Analytical Psychology-)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1.12
13P 미리보기
마르크 샤갈 작품 감상이 지적장애 성인의 조형 표현에 미친 영향 연구 -융의 분석심리학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17권 / 4호 / 409 ~ 421페이지
    · 저자명 : 이민영

    초록

    본 연구는 2010년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장애인 미술교실에 참가한 20여명의 지적장애인 성인의 조형활동을 토대로 이뤄진다. 열린 장애인 미술교실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가운데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마르크 샤갈의 작품전 감상 후 조형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난 지적장애인이 작품 감상 후 조형 활동을 통해 색채와 형태 등의 조형표현으로 언어나 어려운 글, 행동은 아니지만 지적장애 성인들은 조형 활동을 통해 작품을 감상하고 샤갈의 작품이 말하는 근본적인 예술적 외침을 함께 공감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하여 지적장애인과 소통하고 그들의 표현에 있어서 조형 활동이 얼마나 유용한가를 확인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2010년 서울시립미술관 장애인 미술교실에 참가한 20여명의 지적장애인 성인의 조형 활동이다. 총 4회기에 걸쳐 진행된 프로그램이나 본 연구에서는 마르크 샤갈전 감상과 작품 감상 후 진행된 지적장애인들이 작업 한 종이 꼴라쥬작품을 연구의 구성범위와 연구자료 수집 방법으로 선택한다. 지적장애인들이 마르크 샤갈의 작품 감상 후 그 여운이 남아있는 상태를 유지하고자, 작품전 관람 후 바로종이꼴라쥬 작업을 시행하였으며, 작품 활동 전 샤갈의 작품들에 대한 느낌이나 기억을 표현해보기를 공지하였다. 연구의 대상이 지적장애성인임을 감안하여 측정도구로는 작품을 완성하고 발표시간을 통한 자신의 느낌과 기억에 남는 이미지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을 유도하는 방법과 작품 관찰법을 사용한다. 샤갈의 작품에 표현된 무의식적인 요소인 꿈, 환상, 억압 등이 지적장애 성인들의 작품에 어떠한 미적 표현으로 해석되어 보여 지는 가를 주목하는 방법으로 연구된 본 연구를 통하여 샤갈이 색채에 부여한 상징과 십자가, 여인, 동물 등을 통해 상징화 한 내면의 억압적인 요소들의 표현이 지적장애 성인들의 작품에도 그대로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일반인에 비하여 의식하거나 학습되지 않은 정서적 여백이 많은 지적장애인이 만난 샤갈의 무의식의 원형과 상징들은 어떻게 해석되어지는가에 주목한 까닭은 본 연구를 통해 언어나 어려운 글, 행동은 아니지만 지적장애 성인들은 조형 활동을 통해 작품을 감상하고 샤갈의 작품이 말하는 근본적인 예술적 외침을 함께 공감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 지적장애인과 소통하고 그들의 표현에 있어서 조형 활동이 얼마나 유용한가를 확인하여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부응하는 결과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based on formative activity of 20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who participated in art class for the disabled in Seoul Museum of Art in 2010. Enjoying art exhibition of Marc Chagall at Seoul Museum of Art, intellectually disabled expressed themselves through formative activity by colors and shapes. This research explained that intellectually disabled appreciated fundamental artistic cry of Chagall’s work, a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how formative activity can be useful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nd for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he research was on formative activity of 20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who attended art class for the disabled in Seoul Museum of Art in 2010. Although it was a program of 4 sessions, the range of this research includes viewing Marc Chagall’s exhibition and formative activity of paper collage by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fter the exhibition. And their paper collage was selected as a method of collecting research data. Paper collage activity was conducted right after watching the exhibition of Marc Chagall in order to maintain the condition of lingering imagery, and the subjects were told to express feelings and memories about Chagall’s work before working on formative activity.
    Considering the subject of research is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 method of inducing free discussion on impressive images and their feelings and a method of observation were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Focusing on how unconscious elements in Chagall’s work-dream, fantasy and suppression,etc-can be interpreted as an artistic expression on the work by the intellectually disabled,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oppressive elements that Chagall symbolized through symbol, cross, woman and animal on his work are forwarded to the work by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s they are. Moreover,focus on how Chagall’s original form and symbols of unconsciousness that the intellectually disabled met, who have lots of unlearned emotional space compared to people without disability, satisf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of confirming how formative activity can be useful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nd for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emo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