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정(Emotion) 기반 캐릭터와 융복합적 스토리텔링 연구 -가전체 소설 <천군전>과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을 중심으로- (A Study on Reverse Personification Characters and Convergent Storytelling of Emotion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Gajeon Novel Cheon-gun-jeon and Animation Inside Out-)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5.03
15P 미리보기
감정(Emotion) 기반 캐릭터와 융복합적 스토리텔링 연구 -가전체 소설 &lt;천군전&gt;과 애니메이션 &lt;인사이드 아웃&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 43권 / 2호 / 293 ~ 307페이지
    · 저자명 : 이세정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감정(Emotion) 기반의 캐릭터를 중심으로 조선 후기 <천군전>과 픽사(Pixa)의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Inside Out)>을 비교 분석하였다. 감정의 의인화와 역의인화 기법은 감정의 표현 방식과 인간의 심리적·사회적 구조를 반영하는 독창적인 서사적 장치로 기능한다. 이에 감정 캐릭터가 동서양 서사에서 어떻게 구현되며, 각각의 문화적, 철학적 배경 속에서 감정이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는 지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감정 캐릭터의 융복합적 스토리텔링과트랜스미디어적 접근을 언급하여 감정 역의인화 캐릭터의 확장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감정의 의인화와 역의인화 개념을 정리하고, <천군전>과 <인사이드 아웃>에서 등장하는 감정 캐릭터의 특성과 서사 구조를 분석하였다. <천군전>에서는 감정이 독립된 개체가 아니라 인간 내면에서 논쟁하는 요소로 작용하며, 공경(敬), 의로움(義), 게으름(懈), 오만(傲), 강직(剛), 사악함(惡) 등의 감정적 신하들이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결정하는 데 개입한다. 반면, <인사이드 아웃>에서는 감정이 독립적인 캐릭터로 등장하여, 인간의 감정을 조절하고 성장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비교분석 결과, 감정의 의인화는 감정을 독립된 개체로 형상화하여 감정 간 갈등과 협력의 과정을 서사적으로 강조하는 반면, 감정의 역 의인화는 감정을 인간의 논리적 사고 체계와 결합하여 윤리적·철학적 논쟁의 요소로 활용하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감정의 표현 방식은 문화적 배경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천군전> 에서는 감정이 인간 사회의 도덕적 질서와연관되어있는 반면, <인사이드 아웃>에서는 감정이 개인의 심리적 균형과 성장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감정 캐릭터의 비교분석 결과를 통해 감정캐릭터가 융복합적 스토리텔링을 통해 다양한 미디어환경에서 확장될 가능성에 대해 주목하였다. 특히 역의인화 감정 캐릭터의 경우, 단순히 감정표현의 수단이나 도구로써의 역할을 넘어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애니메이션, 게임, 감성 AI, 가상현실(VR) 및 증강현실(AR) 기술과 결합할 수 있으며, 감정 조절과 공감 형성, 감성적 몰입을 촉진하는 핵심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감정의 역할은 단순한 감성적 반응을 넘어서 교육, 심리치료, 윤리적 딜레마 탐구 등의 여러 다양한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해당 연구를 통해 감정 캐릭터의 서사적 기능과 감정표현 방식의 변화가 인간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감정 기반 서사 연구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 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emotion-based charactersin the late Joseon-era Cheongunjeonand Pixar’s animated film Inside Out.
    The personification and reverse personificationof emotions function as unique narrative devices that reflect the method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structures of human beings.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emotional characters are represented in Eastern and Western narratives, how emotions are reconstructed within their respective cultural and philosophical contexts, and how emotional characters can be expanded through convergent storytelling in modern media environments.
    As a research method, a literature-based analysis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oncepts of emotional personification and reverse personification, followed by a comparative structural analysis of the emotional characters in Cheongunjeonand Inside Out. In Cheongunjeon, emotions do not exist as independent entities but function as internal elements engaged in debateswithin the human psyche. Emotional subjects such as Respect (敬), Righteousness (義), Laziness (懈), Arrogance (傲), Integrity (剛), and Wickedness (惡)intervene in human thought and behavior. On the other hand, Inside Outpresents emotions as independent charactersthat regulate human emotions and influence psychological growth.
    The comparative analysis reveals that personified emotionsare depicted as independent beings, emphasizing conflict and cooperationbetween emotions in the narrative structure. In contrast, reverse-personified emotionsare integrated into human logical reasoning, serving as elements for ethical and philosophical discourse. Furthermore, the way emotions are portrayed differs according to cultural backgrounds: in Cheongunjeon, emotions are linked to moral order and social structure, whereas in Inside Out, emotions focus on individual psychological balance and growth.
    The findings highlight that emotional characters have significant potential for expansion through convergent storytellingacross diverse media platforms. In particular, reverse-personified emotional charactersgo beyond merely serving as tools for emotional expression. They can be expanded through transmedia storytellinginto animation, games, affective AI,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functioning as key elements in emotion regulation, empathy formation, and immersive engagement. The role of emotions extends beyond simple affective responses, encompassing education, psychotherapy, and ethical dilemma explorationin various fields.
    Through this study, we seek to define the narrative functions of emotional characters, analyze the transformation of emotional expression methods, and explore the potential for expanding emotion-based storytelling researchin contemporary media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