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콤플렉스와 정신병리 - C.G.융의 이론을 중심으로 - (Complex and Psychopathology of C.G.Ju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2.09
27P 미리보기
콤플렉스와 정신병리 - C.G.융의 이론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32호 / 429 ~ 455페이지
    · 저자명 : 김성민

    초록

    스위스의 분석심리학자 C.G.융의 정신치료 이론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콤플렉스론이다. 그는 인간의 정신병리의 가장 중요한 요인을 자율적 콤플렉스의 작용으로 보는 것이다. 그에 의하면 콤플렉스는 유아기 때 감정적 충격을 받은 사건과 관계되는 관념적 내용이 하나의 핵(核)을 형성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해서 그와 관계되는 요소들이 동화되어 더 큰 덩어리를 이루어 콤플렉스가 형성되는 것이다. 자연히 콤플렉스에는 정감적(affective) 색조가 강조되어서 그 다음에 그와 관계되는 사태가 벌어지면 콤플렉스는 자아-콤플렉스의 작용을 방해하면서, 자아로 하여금 주어진 환경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게 한다. 자아는 콤플렉스가 자아내는 정감 때문에 신체적 변화가 생겨서 제대로 작용하지 못하여 상황에 적응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융은 모든 콤플렉스가 다 문제를 일으키는 것이라고는 주장하지 않았다. 위에서 말한 것은 개인적 콤플렉스이고, 집단적 무의식에 속한 콤플렉스는 문제를 일으키기보다는 사람들로 하여금 여태까지 인류가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는데 도움을 주었듯이 각자가 그에게 주어진 환경에 적응할 때 도움을 준다. 다만 유아시절에 사람들이 충격적 사건을 만나서 삶의 위기상황에 접했을 때, 그 사건이 집단적 무의식에 속한 콤플렉스를 자극하여 부정적인 요소를 이끌어낼 때 부정적 콤플렉스로 되는 것이다. 그래서 융은 집단무의식에 속한 콤플렉스들은 특별히 원형이라고 불렀는데, 그림자, 아니마/아니무스, 페르조나, 자기 등은 모두 원형으로 인간의 정신을 구성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융의 이런 콤플렉스론은 정신분석학을 창시한 프로이드의 생각과는 다르다. 프로이드는 초기에는 콤플렉스라는 단어를 사용하였으나, 중반기 이후에는 콤플렉스라는 단어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 이유는 그가 주장했던 억압이 모두 콤플렉스라고 할 수 있어서, 굳이 콤플렉스라는 단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두 사람의 사상에 차이가 있는 이유는 프로이드가 무의식의 작용에 초점을 맞춰서 정신현상을 관찰한 반면에 융은 의식과 무의식의 관계에 초점을 맞춰서 관찰했기 때문인데, 그럼으로써 두 사람의 정신질환의 원인론과 치료론이 달라진다. 프로이드가 정신질환의 증상을 부정적으로 보면서 없애야 할 것으로 보았는데 반해서, 융은 그 증상들에도 상징적인 의미가 있으며 그 의미를 파악하면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던 것이다. 그래서 융은 콤플렉스론을 가지고 신경증과 히스테리는 물론 정신분열병의 발생기전도 설명하는데, 그 핵심적인 사상은 감정적 색조가 강조된 자율적 콤플렉스가 자아를 동화시켜서 자아의 작용을 방해하는데 있다.

    영어초록

    The theory of complex is the most important theory of the psychotherapy of Swiss Analytical Psychologist C.G.Jung. He takes the autonomous complex for the essential factor of all psychopathology. He thought the complex as an ideo-affective factor which was formed by an emotional events for an infantile period. When a traumatic event broke through, it formed a complex. And it tended to assimilate a similar factors and condensed. As a consequence a complex became a feeling-toned complex, and it leaded to numerous confusions interfering the works of ego-complex and blocking the adaptation of the ego to the environment.
    But all the complexes are not necessarily morbid by nature. Consequently we find them in all peoples and in all epoche. C.G.Jung thought the archetypes as the complexes which are the components of collective unconscious. Only when the feeling-toned complex assimilate the ego-compex, it leads to a neurotic dissociation of the personality. In such cases their powers of assimilation become pronounced, since the unconscious helps the complex to assimilate the ego.
    C.G.Jung thought the complex different from S.Freud. While S.Freud spoke on the complex only his early days and as to Oedipus complex or castration complex, C.G.Jung took all the psychological factors as the complex. We think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m comes their different approaches to the unconscious: while S.Freud tried to see the unconscious by way of its actions, C.G.Jung by wa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consciousness and the unconscious. Consequently all other things went differently afterwar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