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통춤 공연현장에서의 융복합예술 패러다임 (Paradigm of Convergence Arts at the Site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3.08
18P 미리보기
전통춤 공연현장에서의 융복합예술 패러다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용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용연구 / 31권 / 2호 / 195 ~ 212페이지
    · 저자명 : 이미영

    초록

    본 연구는 전통춤 공연현장이 반드시 바뀌어야 한다는 소명의식아래, 또 하나는 변화해가는 전통춤 공연현장을 보며 현재와 미래의 전통춤 공연현장에서의 융복합예술 패러다임에 대한 진단과 조망을 해보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행해지고 있는 한국전통춤의 공연현장흐름을 진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새로운 한국전통춤이 나아갈 방향제시의 기본적 틀을 제공한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하겠다. 전통춤 공연현장에서 전통춤과 전통 재구성춤, 전통 재창작춤 등의 새로운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같은 전통춤 작품의 경우도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작품들 이외의 다른 류파별 작품들과 다양한 시·도지정 무형문화재들이 발굴되고, 새롭게 선보이는 춤들이 속속히 나오고 있다. 가령 조갑녀류 승무, 김수악류 교방굿거리춤, 조흥동류 한량무, 김은희류 밀양검무 등이 그 한 예로 들 수 있다. 전통 재구성무용의 경우, 진주검무를 홀로 춤으로 재구성한 “구음검무”, 논개살풀이춤을 음악을 달리하여 이미지를 극대화시킨 “논개”를 들 수 있다. 전통 재창작무는 본 연구자의 경우를 예로들면, 이매방의 입춤을 재창작한 “산유화”, 최현의 산조춤을 재창작한 “숲”, 진도북춤을 퍼커션(percussio)악기 반주로 아리랑 민요에 맞추어 재창작한 “아리랑 환타지”를 들 수 있다. 전통춤의 콘텐츠 개발과 다각적 장르와의 융복합을 통한 변화와 시도는 관객들에게 외면당하고 있는 전통춤 공연의 절박한 현실에서 일반관객과의 적극적 소통을 할 수 있는 바람직한 현상이다. 또한 21세기 융합과 소통의 시대흐름에 부합된 전통춤 공연현장에서의 융복합예술 패러다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site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is changing and it should be changed. Already enough, trend of the times and the spectators' sensibility are moving at breakneck speed. With an awareness that we should have our site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changed under the reality of its actual change, this study aims to diagnose and look out on the paradigm of convergence arts at the present and future site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For study method, in order to analyze the sites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made in the past 3 years, the researcher directly participated in, produced or viewed the performances, or looked over videos, programs and every literature of primary and secondary historical records. Limitations in this study are the fact that the researcher has failed to deal with all the theaters in Seoul producing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but just focused on Foyer, Sungkyun Theater, Seongam Arts Hall, Kous, etc. where currently such performances are being consistently given in full swing.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of help in diagnosing the current trend at the sit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with significance in providing the basic frame of its new direction to proceed in the future. The existing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was a simple method of listing repertories, which was limited itself to designated cultural assets. Considering the performance scene on the theater-type stage right after our Flowering Time 100 years ago was a variety show including court dance, folk dances and new-style dance, today's performance of traditional dance putting back the clock is deemed impossible to secure the general spectators any more. This has unleashed many attempts including, first, critics who are differentiating among works using the new terms - traditional dance, reconstructed and recreated dances from tradition and creative dance. Reconstructed dance from tradition is the one made through new work of revision and complement in composing the order of movements, leaving the original movements and content contained in the traditional dance work as they are. Recreated dance from tradition is a new recreation of movements and composition contained in the original with newly made theme, content and choreographic design, betraying the attempt of recreation from the original traditional dance. Finally, creative dance refers to a newly created work totall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raditional dance work, in which the original plays no further role than providing an idea or material. In short, on the site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these new attempts of traditional dance, reconstructed and recreated dances from tradition, etc, are appearing. Even for the same traditional dance work, works by school and diverse intangible cultural assets designated by cities and provinces other than state-designated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re being turned up while producing new works one after another. As observed above, we have the paradigm of convergence arts changing at the site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Instead of the existing performance in one method of listing repertories of traditional dance, the site is changing the software with traditional dance, reconstructed and recreated dances from tradition, creative dance, etc. on the level of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Besides, they are presenting a new content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by reconstructing its entire frame as hardware through convergence attempts made among many genres, such as popular music, history and literature, diverse spaces, image, etc. as well as live music. These changes and attempts are a desirable phenomenon favorable to positive communication with general spectators in an urgent reality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being neglected by them. This can be recognized as the paradigm of convergence arts at the site of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coincidental to a trend of the 21st century, a time for convergence and commun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용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