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창협의 사단칠정 논의 고찰 : 퇴 율절충론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Reflections on Kim Chang-hyeop's discussion of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 A Critical Examination of Assessment of Eclecticism of Toegye and Yulgok)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4.02
33P 미리보기
김창협의 사단칠정 논의 고찰 : 퇴 율절충론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자학회
    · 수록지 정보 : 孔子學 / 52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김지은

    초록

    학계에서 주목하는 대표적인 퇴(退)‧율(栗) 절충론자로는 조성기(趙聖期), 임영(林泳), 김창협(金昌協)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서인(西人)에 속한 학자들이었음에도 이이(李珥)의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무비판적으로 묵수하지도 않았고, 이황(李滉)의 ‘호발설(互發說)’을 무조건적으로 배척하지도 않았다. 이들은 이황과 이이의 학설을 참고자료로 활용하며 주희의 이론적 입장에 부합하는 사단칠정 논의를 개진하고자 했다.
    이이가 이황의 호발명제를 하나의 마음에 대해 존재론적으로 상이한 감정의 발로 기제를 상정한 명제로 단언하며 비판하였던 것과 달리, 이들은 호발설이 리기불상리(理氣不相離) 원칙에 위배되는 듯한 ‘표현상’의 문제를 지닌다는 정도로만 이해하며,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을 구분한 이황의 시도를 긍정하였다. 그럼에도 이들은 호발설이 갖는 오해의 소지를 없애고자, 이이가 리기불상리 원칙에 따라 마음의 발로 기제가 하나일 뿐임을 역설하였던 것을 논의의 논리적 기반으로 삼았다.
    하지만 이들은 이이의 기발리승일도설이 리의 위상을 약화하는 난점을 지닌다고 보며 ‘리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단을 설명하였는데, 바로 이 지점에서 조성기 및 임영과 구분되는 김창협의 입장이 확인된다. 조성기와 임영은 이황의 호발설에 착안하여 리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단을 해석함으로써, 이이의 학설이 갖는 약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반면에 김창협은 이황이 사단과 칠정을 의미상 주리와 주기로 구분한 취지는 긍정하였으나, 호발설을 통해 리의 역할을 드러내려 한 이황의 의도에는 주목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황의 사단 해석을 이이의 사단 이해와 유사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학문적 차원에서 의리(義理)를 실현하려는 문제의식을 지니며 의리의 내용을 담지한 ‘리(理)’를 적극적으로 해석하고자 했던 김창협은 사단을 이루는 리의 역할을 사유할 수 있었고, 이에 입각하여 이이 학설이 갖는 논리적 난점을 극복하려 하였다.
    김창협이 리의 역할을 강조한 이황의 사단 해석에 근거하여 이이 학설의 논리적 약점을 보완하지 않은 데에는 그가 처했던 실존적 상황이 있었다. 당시 김창협은 서인의 학문적‧정치적 입지를 회복하는 작업에 매진하였기에 이이의 학설이 갖는 논리적 약점을 이황의 설에 의거하여 보완하기란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남인에게 이론적 공격의 빌미를 제공하는 동시에 이이 학설의 학문적 정통성을 위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김창협의 사칠 논의는 이황과 이이의 이론적 장점을 종합한 퇴‧율 절충론이라기보다, 서인의 학문적 정체성인 이이의 ‘기발리승일도설’의 내적 완결성을 추구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둔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Prominent figures in the academic community who supported the eclecticism of Toegye and Yulgok were Cho Sung-gi, Lim Young and Kim Chang-hyeop. Although these scholars belonged to the Seo-in(西人) group, they did not unconditionally accept Lee Yi’s theory or reject Lee Hwang’s theory outright. They took Lee Hwang and Lee Yi's theories as a reference and tried to develop a discussion in line with Zhu's theoretical position.
    Unlike Lee Yi, who criticized and refuted the assertions of Lee Hwang, they approached the issue by understanding the problem at an expressive level within the Lee Hwang’s theory. They also acknowledged Lee Hwang’s attempt to distinguish between the Four Beginnings(四端) and the Seven Emotions(七情). Nevertheless, they wanted to clarify possible misunderstandings within Lee Hwang’s theory. They used Lee Yi’s theory as the basis for their discussions. From this point of view they were in line with the eclecticism of Toegye and Yulgok.
    However, they found a flaw in Lee Yi’s theory that weakened the status of Li(理). This is why they have focused their interpretation of the Four Beginnings on the role of Li(理). Kim Chang-hyeop’s perspective differed from that of Cho Sung-gi and Lim Young. Cho Sung-gi and Lim Young interpreted the Four Beginnings as emotions arising from Li(理) and drew inspiration from Lee Hwang’s interpretation. Kim Chang-hyeop, however,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Lee Hwang’s differentiation of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but did not emphasize Lee Hwang’s consideration of revealing the role of Li(理). Rather, he considered Lee Hwang's interpretation to be similar to Lee Yi's understanding.
    However, Kim Chang-hyeop, who had the problem of realizing righteousness at the academic level and actively sought to interpret the 'Li' that contained the content of righteousness, was able to think about the role of Li in the formation of the Four Beginnings and, on this basis, tried to overcome the logical difficulties of Lee Yi's theories.
    The reason why Kim Chang-hyeop did not compensate for the logical weaknesses of Lee Yi's thesis, which was based on Lee Hwang's interpretation of the Four Beginnings and emphasized Li's role, was the existential situation in which he found himself.
    Kim Chang-hyeop was engaged in important work directly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Seo-in's academic and political position, so it was a burden for him to overcome the logical weaknesses of Lee Yi's thesis based on Yi Hwang's theory. It would have provided an opening for a theoretical attack and threatened the academic orthodoxy of Lee Yi’s thesis.
    Kim Chang-hyeop's discussion can be seen a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pursuit of the internal completeness of Lee Yi's thesis, rather than a compromise between Lee Hwang and Lee Yi's theoretical mer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孔子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