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불교승가의 소유와 분배 ―빨리율을 중심으로 (Possession and Distribution in the Early BuddhistS aṃgha -Focusing on the Vinayapiṭak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2.12
37P 미리보기
초기불교승가의 소유와 분배 ―빨리율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33권 / 7 ~ 43페이지
    · 저자명 : 이자랑

    초록

    모든 생산 활동의 금지, 하루 한 끼의 식사, 삼의일발(三衣一鉢), 사의(四依) 등등. 불교 수행자의 의식주 생활과 관련하여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이 원칙들은 불교가 철저한 무소유를 지향한 종교였을 것이라는 막연한 선입관을 갖게 한다. 그런데 승가의 일상을 담은 율장(律藏,Vinayapiṭaka)을 보면, 승가는 이미 초기 단계부터 신도의 초대식에 응하고, 정사나 거사의(居士衣)를 수용하는 등 안정된 의식주 생활을 향유하고 있다. 수행자에게 있어 너무 사치스럽다거나 재가신도의 경제사정을 위협할 정도가 아니라면, 율장에서는 보시물의 수용에 큰 제한을 두지 않는다. 붓다의 관심은 물질적 소유의 여부 그 자체가 아닌, 물질에 대한 욕망과 집착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에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물질을 눈앞에 두고 욕망과 집착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은 쉽지 않았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출가자의 의식주 생활이 담긴 빨리율을 중심으로 비구 개인의 소유 및 승가 차원에서의 분배 원칙을 확인함으로써, 물질과 욕망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붓다가 어떻게 다스려갔는가하는 점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비구의 의식주 생활에 관한 조문을 검토한 결과, 다음 세 가지 관점에서 이 문제가 조절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는 개인적 소유의 관점이다. 삶에 필요한 최소한의 소유라는 원칙을 통해 물질에 대한 욕망이나 집착이 발생할 수 있는 여지는 차단하지만, 결코 육체를 괴롭힐 정도의 무소유를 지향하지는 않았으며 평안한 수행 생활을 위한 충분한 배려가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는 승가 차원에서의 분배의 관점이다. 대부분의 물질을 승가 소유로 하고 모든 구성원에게 불만 없이 분배함으로써 구성원들에게 소유욕을 키우지 않으면서도 모든 구성원들이 거의 동일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셋째는 비구 개개인의 인식 변화라고 하는 관점이다. 자신에게 주어진 몫에 대한 만족과 타인에 대한 양보를 통해, 물질에 대한 탐욕이나 집착이 아닌 평안한 공유와 화합을 강조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prohibition of all the production activities, one meal a day,three robes and one bowl (三衣一鉢), and the four necessities (四衣), are the principles which are mentioned as the Buddhist practitioners’ archetypal lives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se principles make us have a vague prejudice that Buddhism was a religion aimed at thorough non-possession. However, if we look at the collected Buddhist precepts (律藏, Vinayapiṭaka )that prescribe the daily lives of Buddhist monastic communities,we can see that, from Buddhism’s earliest history, Buddhist communities lived comfortably with food, clothing and shelter provided by lay believers who would invite Buddhists to dinner and/or donate all their necessities. As long as something is not too extravagant and doesn’t place an economic burden on the donor, the Buddhist precepts do not place much restriction on what can be donated. Buddha’s concern was not the possession or the non-possession of materials themselves but the liberation from desire for and attachment to materials. However, it may not have been easy to not have desire and attachment before the materials.
    This treatise intends to confirm how Buddha tried to mitigate the problems that sometime arise from excessive want and attachment to things by consideringthe principles that regulate what a monk can possess and the distribution of goods within the Buddhist monastic community.
    I will focus on the Vinayapiṭaka that deals with the distribution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o monks. From a review of these provisions in the Vinayapiṭaka , I will confirm how the distribution of these things was designed to overcome excessive want and attachment. The first thing we must look at is allowable individual possessions and how want and attachment to things is blocked by the principle of having only enough to live but not to the point of tormenting the body. Consideration must also be given to living a life of Buddhist practice without excessive discomfort. The second thing we must look at is the distribution of wealth within the Buddhist monastic community. The Buddhist community views almost all material goods as belonging to the Buddhist community and distributes them among all members without anyone feeling slighted. Monks therefore develop no attachment to things but accept such distribution with almost a feeling of contentment. The third aspect we must look at is the individual monks’ change in perception. By being satisfied with what they have and conceding to others, they emphasize peaceful co-ownership and harmony, not lust or attachment to th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