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남선의 신시(新詩)에서의 율(律)의 문제 (The Birth of Modern Perception of Sound and Letter -Choi Nam-seon's sense of Rhythm for Sin-si-)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0.04
27P 미리보기
최남선의 신시(新詩)에서의 율(律)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1호 / 191 ~ 217페이지
    · 저자명 : 박슬기

    초록

    이 글의 일차적인 목표는 최남선의 시적 실험의 양상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데 있다. 기왕의 최남선의 시 혹은 시가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져 왔는데 하나는 주로 노래의 형식을 중심으로, 최남선의 계몽적 활동의 일부로서 시적 실험을 이해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주로 신체시 양식을 중심으로, 이 양식이 근대적 자유시의 기원이자 출발점이 될 수 있는지를 점검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노래의 형식과 신체시의 형식, 그리고 기타의 형식을 아우르는 최남선의 시적 실험을 가능케 한 원동력으로서 ‘율(律)’에 대한 의식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 율(律)의 양식적 양상을 중심으로 최남선의《소년》지 소재 시가를 재분류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확인되는 바는 최남선에게 소리와 문자의 분리에 대한 무의식적 인지가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전통적인 시가 원리인 ‘율격’을 근간으로 하면서 그것을 낭송에 의해서가 아니라 읽기(묵독)의 방식으로 향유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만들고자 했을 때 부딪쳤던 문제다. 말하자면, 율격이란 근본적으로 낭송자의 율독에 의해서만 가청적으로 나타나는 소리의 감각이며, 이는 쓰인 문자를 눈으로 읽어나가는 감각에서는 재현하기 어려운 것이다. 쓰인 문자로서 가능한 율격은 문자 밖의 노래를 불러 들이면서, 다시 말해 그러한 공통적 율조를 상기하는 방식으로만 가능하다. 그렇다면, 쓰인 문자 자체로서는 어떠한 율격이 가능할 것인가. 최남선의 11편의 산문형 시는 이 가능성과 한계를 보여준다.
    최남선 스스로에게 이러한 실험들이 큰 의미가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 또한 이 작품들이 어떠한 문학적 가치를 지닐 수 있는지는 별도의 문제다. 다만, 최남선의 이 시적 실험들 속에는 전통적 시가가 토대하고 있는 낭송의 감각에서 근대적 시가 토대하는 읽기의 감각으로 이행하는 혁신적인 ‘단절’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소리와 문자의 분리에 대한 의식은 최남선의 시 혹은 시가를 하나의 문학적 변종으로서가 아니라, 근대적 자유시의 내적 원천으로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영어초록

    Choi Nam-seon's 'Sin-si (New Poem)' was produc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poetic rhythm during Korea's period of Enlightenment; in the period, it was still considered as commonsensical that the most crucial characteristics of poetic genre is its poetic rhythm and the liberation of letter from sound was not completed. Choi's insistence on the concept of rhythm exerted regulating force on the contentional relationship between his creation of songs and poems. In this paper, I divided So-nyeon (Youth)'s poetic writings into two categories, which has been regarded as one; one is titled as 'song,' which demands the musical outside its poetic text. This is the rhythmical foreign to the text and its origin is the concept of poetic rhythm. The other half consists of eleven works of prose poems. In those poems, the rhythm is annulled and checked at the moment of its creation; they are the works of the fragmented deployment of letters and the result of concept of anti-rhythm.
    The contentions between the concept of poetic rhythm and its anti-thesis consists of Choi Nam-seon's basic idea of poetic diction. In this sense, his poetic experiments must be considered as unique among their contemporaries, which were fundamentally restricted by the traditional concept of poetic rhythm; his clear recognition of the separation of letter from its sound was the guiding principle of his poetic writings. He evinces his own articulation of the transition from sound to letter. As Ju Yo-han's early poems proves, the free verse i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discovered the inner rhythm on the ground of Choi's articulation of this trans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