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흄의 문제와 관계 일반의 양립 가능성-쇼펜하우어의 충족이유율과 하이데거의 근거율의 연관에서- (Compatibility of Hume’s puzzle and the general relation: in relation to Schopenhauer’s ‘Der Satz vom zureichenden Grunde’ and Heidegger’s‘Der Satz vom Grund’)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3.12
44P 미리보기
흄의 문제와 관계 일반의 양립 가능성-쇼펜하우어의 충족이유율과 하이데거의 근거율의 연관에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111권 / 4호 / 29 ~ 72페이지
    · 저자명 : 윤단비

    초록

    ‘흄의 문제’를 표상에 대한 비판으로 제시할 수 있다면, 흄은 관계에 대하여 의심을 품은 자가 아니라 오히려 관계에 대한 이전 사유의 몰이해를 겨냥한 자로 이해될 수 있다. 이 글은 흄의 문제로부터 관계 일반의 영역이 어떤 과정을 거쳐 도출되는지 ‘이유율’을 중심으로 살핀다. 우선 흄에 대한 후자의 이해를 이어가는 사유를 선별한다. 첫째, 프레드릭 제임슨의 근대성 분석으로부터 관계 일반의 논의 가능성이 검토된다. 이는 데카르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데카르트의 코기토를 표상작용으로 설명함으로써 코기토가 주관성이 아니라 주관과 객관이 만나는, 즉 분리를 결합시키는 동질적 공간의 생산을 가능케 하는 근거로서 제시될 것이다. 표상은 분리를 전제하는 개념이 된다. 둘째, 쇼펜하우어의 표상의 세계를 다룬다. 쇼펜하우어에 이르러 ‘표상에 근거가 있다’는 데카르트적 사실이 ‘표상은 근거를 반드시 지닌다’는 법칙으로 변모한다. 충족이유율이 법칙으로서 표상의 근거가 된다. 셋째, 하이데거에게서 ‘표상-근거’가 ‘표상-존재’로서 드러나는 과정을 통해 어떻게 근거율이 존재 일반의 영역에 적용되는지를 밝힌다. 비로소 근거율은 관계 맺음의 결과물로서의 표상 일반에 적용된다. 이로부터 우리는 신의 힘을 빌리지 않고도 모든 관계를 해명하는 법칙적 가능성을 보게 된다. 결국 흄의 문제는 근대적 사유를 ‘표상’에 대한 수렴이기보다 ‘표상-근거’의 도식으로 재규정할 수 있게 만든다. 근대적 사유 안에서 ‘관계의 근거’를 구하고자 하는 시도가 반복된다. 관계 개념에 대한 철학적 사유는 비교적 최근의 동향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흄의 문제가 시사하는 관계의 몰이해를 경계하지 않는다면 관계의 본성은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f we regard ‘Hume’s Puzzle’ as criticism of Vorstellung, Hume could be turned out not to be one who harbors suspicion against the relation but to be one who indicates the former insensitive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 The article shows how any kind of relation comes from Hume’s Puzzle by using the causality. To begin with, we choose some particular thoughts are following the latter point of Hume‘s Puzzle. First, the Possibility of any kind of relation would be examined by Fredric Jameson’s analysis of Modernity. This examination will revolve around Descartes. Through reading Cogito into action of Vorstellung, Cogito will be presented in reason about which, and by producing of homogeneous space, and not to be subjectivity but to be meeting place between subject-object. Now the separation is provided for Vorstellung. Second is about Schopenhaur’s Vorstellung. In his thoughts, ‘Vorstellung has a reason’ turns into the law of ‘Vorstellung always has a reason’. The Causality became a reason of Vorstellung. Third, we explore how ‘Der Satz vom Grund’ could be applied to whole Being throgh the process of ‘Vorstellung-reason’ turns into ‘Vorstellung-Sein’ .At last, ‘Der Satz vom Grund’ is applied to whole Vorstellung which is production of formation of relation.
    We see formal potential clarifying all of relations without the power of God. Finally, Hume’s Puzzle make a redefinition of the term ‘modern thinking’ as ‘Vorstellung-reason’ system rather than ‘subjectivity’.
    The attempt to seek a ‘basis of relation’ is repeated in modern thinking.
    Philosophical thinking about the concept of relation is inclined to regard as a recent trend. However, if we are taking our mind off the thoughts of Hume’s Puzzle including insensibility of relation, the relation will be still veil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