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尹愭의 「家禁」에 나타난 家庭敎育의 面貌와 現代的 意味 (Appearance and Modern Acception of Home Education in Yoon Ki’s 「Ga Geum」)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1.09
38P 미리보기
尹愭의 「家禁」에 나타난 家庭敎育의 面貌와 現代的 意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48호 / 7 ~ 44페이지
    · 저자명 : 김병건

    초록

    家訓은 일반적으로 표어나 속담식의 짧은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 많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당한 길이와 심도 있는 의논을 전개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이러한 부류의 가훈을 중심으로 하여 尹愭의 「家禁」과 家訓類를 중심으로 하고 더불어 安之推의 『顔氏家訓』과 丁若鏞의 「家誡」로 논지를 보충하고 비교 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家禁」의 성격과 家訓類의 形態와 內容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家訓類에는 당대의 시대 상황에 대한 진단과 경계의 과정에서 당시대 사회상과 인물상을 핍진하게 알 수 있는 효용도 있었다.
    尹愭는 자신이 평소에 품은 뜻과 議論을 모두 문집에 싣고 후손들이 이를 보배로 삼아서 훈계를 따르고 준수하기를 기대하였다. 다른 문집과 비교하면 尹愭의 문집에 家訓이나 가훈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는 저술이 특별히 많은 편이다. 尹愭가 이렇게 많은 家訓을 남긴 理由는 첫째, 家門을 復興시키기에는 자신의 능력이 부족함을 切感하였다. 둘째, 자손의 力量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자신의 한계를 절감하고 후손 역시 기대만큼 출중하지 못하자 미래의 후손에게 더 많은 敎訓과 警戒를 남겨 전하고자 하였다. 그 내용은 의리와 명분에 관한 것에서부터 일상생활의 지극히 사소한 일 까지 勸戒를 남기고 이치의 실상을 추구하였다. 표현은 때로는 조부가 손자를 달래듯이, 때로는 엄격한 부친이 책망 하듯이 다양한 내용과 표현으로 서술하였다.
    그는 「家禁」을 포함한 가훈에 대하여 ‘마음가짐의 要諦이고 守身과 保家의 법이요 聖人이 다시 오더라도 절대로 이 말을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確信하며 가훈류에 대하여 문집에서 가장 큰 比重을 두고 중요시 한 것으로 보인다.
    尹愭는 양반사대부의 도리와 금기에 대하여 그 身分에 맞는 道理를 실천하고 品行을 바르게 하여 일반 백성이나 常漢에게 嫌惡와 疾視의 대상이 되지 않길 바라고 있다. 官人으로서는 官街에 풍미하는 不正한 風潮를 따르지 말고 자신의 직무를 誠實히 수행하고 言行을 조심하며 私的인 感情을 개입시키지 말라고 하였다.
    財産의 社會 還元과 유사한 논의가 가훈에 보인다. 尹愭는 일정 이상의 재물은 남에게 나누어주고 재산 보다는 義理를 중시하고 仁과 禮義를 높이도록 하였다. 茶山은 物質을 자기 자손에게 전해주는 것은 물질로 사용하는 것으로 모두 없어지지만, 물질을 남에게 베풀어 주면 그것은 물질을 精神으로 사용하는 것이므로 永遠하고 변함이 없다고 보았다. 물질을 남에게 베풀면 물질을 주는 것이 아니라 정신을 주는 것이라는 설명은 현대의 기부문화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논리라고 하겠다.
    윤기와 안지추가 제시한 早期敎育은 知識中心이 아니라 人性敎育과 禮節敎育에 주안을 두고 있다. 조기교육은 아이가 얼굴을 구별할 줄 알 정도면 시작하여야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그들은 2~5세 정도부터 필요한 경우에는 體罰을 시작하여 自我가 어느 정도 형성되는 나이(약 10세 정도)까지는 사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반면 자아가 형성되는 사춘기에 접어든 아이에게는 체벌은 反感만 불러일으킨다고 보았다. 이 논리는 체벌의 시행 뿐 만 아니라 시기에 맞는 적절한 교육이 필요함을 의미하는 듯하다.
    家訓類에서 제시하는 本分을 지키고 社會에 寄與하며 인성교육에 힘쓰고 삼가는 생활태도는 현대인의 삶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가정뿐만 아니라 사회의 교육에도 참고할 만하겠다.

    영어초록

    Every aristocrat, Yangban in Korea, w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ome education for the maintenance of their social position through an education as Yangban and a traditional recruiting system, Gwageo. Yoon Ki’s views of education have two points: An early education, An education based on abilities and learning levels.
    A personal anthology usually has several family mottoes. The exemplary 『An Si Ga-hoon』 by An Jichoo has many sincere and genuine ones. However, it has somewhat irrelevant contents. Jung Yakyong had also left so many family mottoes, but they were mainly the letters to their sons, which was very formal not to loose his face.
    Yoon Ki’s case, however, has a number of long or short family mottoes, which is highly serious. Not like typical family mottoes in Yangban’s family, they are rather honest, considerate, and very attentive as a father. They covers from universal human matter to trivial things in real life earnestly. They underline an honorable life as the man, a responsibility for their own position, a contribution for a society through a donation, and a self-care for themsel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6 오후